한 끼 과식이 심장마비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전문가 경고가 나왔다. 특히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을 가진 사람이라면 과식이 심장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 지난해 7월에는 필리핀의 한 먹방 유튜버가 폭식하는 영상을 올린 다음날 심장마비로 사망하는 사례가 나타나기도 했다. 엘살바도르에서도 유명 먹방 방송인이 37살의 비교적 젊은 나이에 갑자기 숨졌다. 사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마찬가지로 심장마비로 추정된다.
미국의 심장 전문의 아메야 쿨카르니 박사는 지난 25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젊고 건강한 사람에게서 단 한 번의 과식이 심장마비를 일으킬 가능성은 낮다"면서도 "이미 위험 요인을 가진 사람이라면 과식이 심장에 스트레스를 주고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7월에는 필리핀의 한 먹방 유튜버가 폭식하는 영상을 올린 다음날 심장마비로 사망하는 사례가 나타나기도 했다. 엘살바도르에서도 유명 먹방 방송인이 37살의 비교적 젊은 나이에 갑자기 숨졌다. 사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마찬가지로 심장마비로 추정된다.
미국의 심장 전문의 아메야 쿨카르니 박사는 지난 25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젊고 건강한 사람에게서 단 한 번의 과식이 심장마비를 일으킬 가능성은 낮다"면서도 "이미 위험 요인을 가진 사람이라면 과식이 심장에 스트레스를 주고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과식과 심장마비의 연관은 연구를 통해서도 증명됐다. 2000년 미국심장협회(AHA) 학술대회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평소보다 유난히 많은 양의 식사'를 한 뒤 두 시간 동안 심장마비 위험이 최대 네 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17개 연구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과격한 운동, 과식, 감정적 스트레스가 심장마비 직전 흔히 보고된 촉발 요인으로 꼽혔다.
전문가들은 과식이 심장에 부담을 주는 이유를 소화 과정에서 찾는다. 미국 메이요클리닉 심장 전문의 스티브 코페키 박사는 "지방·칼로리·가공 탄수화물이 많은 대량의 음식을 처리하려면 혈류가 소화기관으로 몰리고, 혈관이 수축하며 심박수와 혈압이 상승한다"고 했다. 이 과정에서 동맥 내 콜레스테롤 플라크가 파열돼 혈전이 형성될 수 있다. 또 기름진 음식 자체도 혈액이 응고되도록 한다. 코페키 박사는 "여러 위험 요인이 겹치면 몇 시간 뒤 심장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과식 후 심장마비가 의심된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 전형적인 주요 증상은 ▲가슴 한가운데 또는 왼쪽의 통증·압박감이 수 분 이상 지속되거나 반복하고 ▲팔·턱·목·등·명치 위쪽으로 통증이 뻗고 ▲평소와 달리 숨이 차거나 가빠지고 ▲어지러움, 식은땀, 극심한 무기력감이 느껴지고 ▲메스꺼움·구토 증상이 나타나고 ▲맥박이 빠르거나 불규칙하게 뛴다.
전문가들은 과식을 스스로 조절하기 어렵다면, 위험을 줄이는 방식으로 식사를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접시의 절반은 채소·과일 등 신선한 식품으로 채우고, 나머지는 단백질과 탄수화물로 나누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포만감을 느끼기까지 약 20분이 걸리므로 천천히 먹고, 배부름을 느끼면 과감히 식사를 마치는 것이 좋다. 또한 술은 자제하는 게 좋다. 술은 식욕을 자극하고 절제력을 떨어뜨릴 수 있어 과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식사 후 가벼운 산책은 혈압·혈당·중성지방 수치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