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성형의 지난 역사는 분명한 진전의 시간이었다. 스무스 타입의 보형물을 통한 가슴 확대 수술 케이스를 추적 관찰한 논문들에서 보고된 구형구축 발생률은 지난 20년간 크게 감소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의료 현장에서도 구형구축이 전만큼 그리 우려하지 않아도 되는 부작용 중 하나가 된 것이 확연하게 느껴진다. 강화된 감염 관리를 비롯한 표준 수술법의 정교화에 따라 수술 안전성이 높아지면서, 구형구축의 부담은 과거에 비해 크게 낮아진 것이다. 이 전제 위에서 오늘날의 화두는 바뀌었다. 시간이 지나도 보형물이 모양이 제자리를 지키는가, 바로 위치 안정성이다.
이런 흐름은 최근 임상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의료진들 사이의 대화에서도 체감된다. 지난 9월 25일과 10월 22일 존슨앤드존슨 멘토가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개최한 OnPoint 세미나에 필자가 참석해 함께 공유한 논의 역시 같은 지점을 가리켰다. 가슴성형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저명한 Dr. William Adams와 Dr. Louis Strock, Dr. Anand Deva는 공개 토론에서 “촉감은 상향 평준화된 지금, 환자의 만족을 가르는 차이는 보형물의 장기적인 위치 안정성에 있으며 그 핵심 변수로 캡슐(피막)의 역할을 다시 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가슴재건성형술로 널리 알려진 Dr. Brian Thornton 또한 9월 25일 세미나에서 “좋은 캡슐은 단순하다. 부드럽게 감싸되, 잡아준다”며 캡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브래지어를 떠올리면 이해가 쉽다는 것이다. 브라렛처럼 지나치게 얇고 부드러우면 지지가 약해 형태가 흐트러지고, 너무 두껍고 빳빳하면 압박과 불편을 낳는다. 마찬가지로 캡슐도 지나치게 두꺼우면 구형구축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고, 반면 지나치게 얇고 느슨할 경우에도 보형물의 위치 안정성과 관련된 문제들이 생기기 쉽다. 결국 수술의 장기 결과는 이 두 극단 사이의 밸런스에서 갈린다는 것이었다.
캡슐은 보형물이 체내로 삽입됐을 때 이물질에 대한 정상적이고 자연스러운 면역 반응으로써 보형물 주변에 형성되는 일종의 막이다. 캡슐이 지나치게 두꺼워지면서 발생하는 구형구축이라는 합병증이 그동안 많이 얘기되어 오다 보니 캡슐 자체가 문제인 것처럼 생각하는 경우도 많지만, 캡슐 형성은 당연히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캡슐은 오히려 보형물을 주변 조직과 분리하며 보호하는 동시에, 보형물이 쉽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역할까지 한다.
최근 임상에서 더 자주 문제로 거론되고 있는 것은 위치이탈이라는 합병증이다. 보형물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옆빠짐(측방 전위), 아래로 보형물이 흘러내리는 밑빠짐, 하부 주름선이 이중으로 보이는 더블버블, 가슴 전체가 점점 처지는 가슴처짐 같은 변화가 대표적이다. 특히 매우 얇고 느슨한 캡슐은 시간의 흐름과 중력, 일상 동작의 반복 하중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미세한 늘어남이 쌓이면 보형물이 위치한 포켓의 공간이 서서히 넓어지고, 그 여유를 따라 보형물은 바깥쪽이나 아래쪽으로 움직이려 한다. 과정은 눈에 잘 띄지 않게 진행되지만, 어느 순간 사진과 거울 속 라인이 어긋나 보인다. 촉감이 아무리 좋아도 제 위치를 지키지 못하면 만족은 오래가기 어렵다.
멘토 메모리젤 보형물의 경우 10년간 추적 관찰한 데이터에서 1%의 위치이탈 발생률 을 기록했고, 엑스트라 또한 3년 추적 결과 0%의 위치이탈 발생률 을 기록했다. 물론 위치이탈의 발생이 보형물 종류에만 기인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신뢰할 수 있는 장기간의 임상 데이터가 있는가를 고려하는 것이 건강한 캡슐 형성을 통해 위치이탈 합병증 발생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지난 20년간 술기 발전으로 인한 구형구축 부담의 감소와 같은 성취 이후, 다음 10년의 경쟁력은 캡슐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 있다고 본다. 이제는 캡슐을 단순히 제거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보형물을 지지하는 구조로 이해하고, 이 관점에 맞추어 보형물을 선택하고 수술하는 것이 중요한 때다.
(*이 칼럼은 김국현 휴먼성형외과 원장의 기고입니다.)
이런 흐름은 최근 임상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의료진들 사이의 대화에서도 체감된다. 지난 9월 25일과 10월 22일 존슨앤드존슨 멘토가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개최한 OnPoint 세미나에 필자가 참석해 함께 공유한 논의 역시 같은 지점을 가리켰다. 가슴성형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저명한 Dr. William Adams와 Dr. Louis Strock, Dr. Anand Deva는 공개 토론에서 “촉감은 상향 평준화된 지금, 환자의 만족을 가르는 차이는 보형물의 장기적인 위치 안정성에 있으며 그 핵심 변수로 캡슐(피막)의 역할을 다시 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가슴재건성형술로 널리 알려진 Dr. Brian Thornton 또한 9월 25일 세미나에서 “좋은 캡슐은 단순하다. 부드럽게 감싸되, 잡아준다”며 캡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브래지어를 떠올리면 이해가 쉽다는 것이다. 브라렛처럼 지나치게 얇고 부드러우면 지지가 약해 형태가 흐트러지고, 너무 두껍고 빳빳하면 압박과 불편을 낳는다. 마찬가지로 캡슐도 지나치게 두꺼우면 구형구축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고, 반면 지나치게 얇고 느슨할 경우에도 보형물의 위치 안정성과 관련된 문제들이 생기기 쉽다. 결국 수술의 장기 결과는 이 두 극단 사이의 밸런스에서 갈린다는 것이었다.
캡슐은 보형물이 체내로 삽입됐을 때 이물질에 대한 정상적이고 자연스러운 면역 반응으로써 보형물 주변에 형성되는 일종의 막이다. 캡슐이 지나치게 두꺼워지면서 발생하는 구형구축이라는 합병증이 그동안 많이 얘기되어 오다 보니 캡슐 자체가 문제인 것처럼 생각하는 경우도 많지만, 캡슐 형성은 당연히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캡슐은 오히려 보형물을 주변 조직과 분리하며 보호하는 동시에, 보형물이 쉽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역할까지 한다.
최근 임상에서 더 자주 문제로 거론되고 있는 것은 위치이탈이라는 합병증이다. 보형물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옆빠짐(측방 전위), 아래로 보형물이 흘러내리는 밑빠짐, 하부 주름선이 이중으로 보이는 더블버블, 가슴 전체가 점점 처지는 가슴처짐 같은 변화가 대표적이다. 특히 매우 얇고 느슨한 캡슐은 시간의 흐름과 중력, 일상 동작의 반복 하중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미세한 늘어남이 쌓이면 보형물이 위치한 포켓의 공간이 서서히 넓어지고, 그 여유를 따라 보형물은 바깥쪽이나 아래쪽으로 움직이려 한다. 과정은 눈에 잘 띄지 않게 진행되지만, 어느 순간 사진과 거울 속 라인이 어긋나 보인다. 촉감이 아무리 좋아도 제 위치를 지키지 못하면 만족은 오래가기 어렵다.
멘토 메모리젤 보형물의 경우 10년간 추적 관찰한 데이터에서 1%의 위치이탈 발생률 을 기록했고, 엑스트라 또한 3년 추적 결과 0%의 위치이탈 발생률 을 기록했다. 물론 위치이탈의 발생이 보형물 종류에만 기인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신뢰할 수 있는 장기간의 임상 데이터가 있는가를 고려하는 것이 건강한 캡슐 형성을 통해 위치이탈 합병증 발생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지난 20년간 술기 발전으로 인한 구형구축 부담의 감소와 같은 성취 이후, 다음 10년의 경쟁력은 캡슐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 있다고 본다. 이제는 캡슐을 단순히 제거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보형물을 지지하는 구조로 이해하고, 이 관점에 맞추어 보형물을 선택하고 수술하는 것이 중요한 때다.
(*이 칼럼은 김국현 휴먼성형외과 원장의 기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