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변이 일어난 것 맞지만 매년 있는 일”
중증 예방 효과 여전… 지금이라도 접종해야

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인플루엔자(독감)가 학령기 아동·청소년을 중심으로 확산하며, 환자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배로 급증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백신 표적과 실제 유행 바이러스 간 불일치가 원인인 것으로 보고 있다.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박윤선 교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배로 폭증한 것은 맞으며, 올해 독감 유행은 역대급 규모가 될 수 있다”며 “다만, 지난해보다 독감 비접종율이 높은 것이 한몫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코로나와 달리 독감은 전수조사를 하지 않아서, 독감 환자 중 독감 백신 접종 여부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지난 2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현재 독감 유행을 이끄는 건 A형 독감 H3N2의 새로운 하위 변이 ‘K(subclade K)’이다. 질병청이 지난 11월 1~8일 기준 국내 유행 바이러스를 분석했더니 K 변이 점유율은 97.2%였다. 전 세계적으로도 K 변이의 점유율은 72%를 넘어섰다. 유럽 질병통제예방센터(ECDC)는 지난 20일 “K 변이는 백신 표적 바이러스와 상당한 유전적 거리가 있으며, 항원불일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중증질환·입원·사망 위험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백신 미스매치가 발생한 건 지난 5월말 갑자기 등장한 K 변이가 한국을 비롯해 미국·일본·영국·캐나다 등 북반구 대부분의 나라로 확산하면서다. 독감 바이러스는 크게 A형, B형으로 나뉘고 그 아래 수많은 하위 변이가 있다.

K 변이 관련해 박윤선 교수는 “바이러스의 세부 계통에서 약간 변이가 생긴 것이다”며 “백신 변이는 소규모로 매년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매년 2월이면 다음 겨울에 유행할 독감 바이러스 종류를 예측하고, 각국은 거기에 맞춰 백신을 만들고 접종한다. 이번 겨울 백신은 A형 독감 일종인 H1N1·H3N2 J 변이와 B형 독감(빅토리아) 등 세 가지 바이러스가 표적이다. 올해 A형, H3N2까지 맞췄지만, 이후 K가 등장하며 어긋났다는 게 전문가의 해석이다.

전문가들은 독감 백신의 감염 예방 효과는 다소 떨어질 수 있지만, 중증 예방 효과는 여전한 만큼 미접종자는 지금이라도 반드시 접종해야 한다고 말한다. 박윤선 교수는 “아직 독감 백신을 맞지 않았다면 지금이라도 해야한다”며 “65세 이상 고령층 등 고위험군은 물론 집단 생활하는 소아청소년도 다 맞아야 한다”고 말했다. 백신을 맞더라도 독감에 걸릴 수는 있지만, 중증 폐렴 등 합병증을 60~70% 까지도 막아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