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체중 증가의 원인이 기후 변화일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체중 증가의 원인이 기후 변화일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네덜란드 라이덴대 연구진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이 주요 식용 작물의 칼로리를 높이고 영양 가치는 떨어뜨린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산화탄소가 많아지면 광합성이 촉진돼 작물 속 당분과 전분이 더 많이 생성된다. 이 과정에서 칼로리는 증가하지만 필수 영양소는 오히려 감소한다는 점이 연구진의 핵심 관찰 결과였다.

연구진은 쌀, 보리, 감자, 토마토, 밀, 콩, 땅콩, 상추 등 총 43가지 식용 작물의 구성 성분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했다. 연구진의 분석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농도가 두 배로 상승할 경우 작물의 영양 손실도 그에 비례해 증가했다. 평균적으로 단백질·아연·철분 등의 영양소는 4.4% 감소했으며, 일부 영양소는 최대 38%까지 줄어드는 사례도 관찰됐다.

특히 세계 인구 대부분의 주식인 쌀과 밀에서 뚜렷한 영양 손실이 확인됐다. 연구진은 “쌀과 밀 모두 단백질, 아연, 철분과 같은 필수 영양소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고 했다. 동시에 칼로리는 오히려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러한 변화가 ‘숨겨진 배고픔(hidden hunger)’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곡물이 이전보다 칼로리는 높아지고 영양소는 줄어든 만큼, 적정 칼로리에 맞춰 먹으면 필요한 영양을 채우지 못해 영양실조 위험이 커진다. 반대로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려고 양을 늘리면 비만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연구진은 이산화탄소가 풍부한 온실에서 산업적으로 재배한 식품에 대한 우려도 제기했다. 온실 재배는 식품 다양성과 가용성 확대에 도움이 되지만, 앞으로는 영양 변화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저널 'Global Change Biolog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