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 남성의 가구 소득 수준이 뇌의 포도당 대사 활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제적 여유가 스트레스 조절 능력과 보상회로 기능 향상과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발견이다.
17일 부산대병원은 박경준 부산대병원 핵의학과 교수와 신승현 삼성창원병원 핵의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건강한 중년 남성 2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18F-FDG PET 분석에서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유럽뇌과학회 공식 학술지인 ‘유러피언 저널 오브 뉴로사이언스(European Journal of Neuroscience)’에 게재됐다.
18F-FDG PET은 포도당과 흡사한 방사성 추적자를 이용해 뇌 신경세포의 대사 활동을 영상으로 측정하는 기법이다. 연구팀은 건강검진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PET 데이터를 정량 분석해 뇌 포도당 대사 수준을 비교했다.
분석 결과,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전대상피질, 해마, 편도체 등 스트레스 조절 관련 영역과 미상핵, 피각 등 보상회로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대사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육 수준은 뇌 대사와 뚜렷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경제적 자원은 생활 전반의 스트레스 요인을 줄이고, 긍정적 자극과 보상 경험에 접근할 기회를 넓히는 요인이라며 환경적 차이가 도파민 신호전달 강화, 반대로 소득 불안정은 변연계 기능 저하 및 대사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박경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사회경제적 자원이 뇌의 보상 시스템과 스트레스 조절 메커니즘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말했다. 다만 횡단면 연구이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단정할 수 없으며, 앞으로 장기 추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사회경제적 요인이 뇌 건강과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향후 중년기 정신건강 정책과 지원 프로그램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17일 부산대병원은 박경준 부산대병원 핵의학과 교수와 신승현 삼성창원병원 핵의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건강한 중년 남성 2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18F-FDG PET 분석에서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유럽뇌과학회 공식 학술지인 ‘유러피언 저널 오브 뉴로사이언스(European Journal of Neuroscience)’에 게재됐다.
18F-FDG PET은 포도당과 흡사한 방사성 추적자를 이용해 뇌 신경세포의 대사 활동을 영상으로 측정하는 기법이다. 연구팀은 건강검진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PET 데이터를 정량 분석해 뇌 포도당 대사 수준을 비교했다.
분석 결과,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전대상피질, 해마, 편도체 등 스트레스 조절 관련 영역과 미상핵, 피각 등 보상회로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대사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육 수준은 뇌 대사와 뚜렷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경제적 자원은 생활 전반의 스트레스 요인을 줄이고, 긍정적 자극과 보상 경험에 접근할 기회를 넓히는 요인이라며 환경적 차이가 도파민 신호전달 강화, 반대로 소득 불안정은 변연계 기능 저하 및 대사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박경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사회경제적 자원이 뇌의 보상 시스템과 스트레스 조절 메커니즘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말했다. 다만 횡단면 연구이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단정할 수 없으며, 앞으로 장기 추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사회경제적 요인이 뇌 건강과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향후 중년기 정신건강 정책과 지원 프로그램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