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가공식품 섭취가 50세 미만 여성의 대장암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버드 공중보건대학원과 하버드 의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등 국제 공동 연구팀은 최근 수십 년 동안 50세 미만 대장암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한 것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여성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장기 연구인 ‘Nurses’ Health Study II’의 자료를 활용해 초가공식품 섭취와 대장암 전구 병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1991~2015년까지 2만9105명의 여성(등록 당시 24~42세)을 상대로 진행한 연구에서, 여성들은 4년마다 식단 설문을 작성하고 50세 이전 최소 한 번 이상 대장내시경 또는 하부내시경 검사를 받았다.
연구팀은 이 중 대상자들의 선종과 톱니모양병변 진단 기록을 분석했다. 선종은 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더 높은 병변으로, 용종을 제거한 후 조직을 분석해 암으로 진행할 수 있는 특정 유형임을 확인했을 때 사용하는 진단명이다.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에 따르면 실제 대장암의 약 75%는 선종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톱니모양병변은 선종에 비해 절대적인 암 발생 건수는 작지만, 개별 병변당 암으로 진행될 위험성을 비교할 때는 상황이 다르다. 특정 고위험 톱니 병변은 암으로 발전할 위험도가 높으며, 진행 속도 또한 빠를 수 있다.
분석 결과, 초가공식품 섭취가 많을수록 조기 선종 발생 위험이 뚜렷하게 증가했다. 초가공식품 섭취량이 가장 높은 상위 20% 여성은 가장 낮은 하위 20%와 비교해 50세 이전 선종 진단 위험이 약 45% 높았다. 약 1200명의 여성에게서 선종이 발생했는데, 일일 칼로리 섭취의 3분의 1을 초가공식품으로 채운 그룹에서는 위험이 약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설탕·인공감미료 함량이 높은 식품, 소스·스프레드·조미료류 섭취량이 많은 경우 선종 발생률 상승과 가장 큰 연관성을 보였다. 연구팀의 첸 왕 박사는 “초가공식품이 장내 미생물 군집을 변화시키고 염증을 촉발해 장 점막 세포가 암세포로 발전할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했다. 반면 톱니모양병변과 초가공식품 섭취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이번 연구는 주로 백인 여성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한계가 있다. 첸 왕 박사는 “성별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근거는 없다”며 “초가공식품과 대장암 위험의 연관성이 남성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자마 온콜로지(JAMA Oncology)’에 지난 11일 게재됐다.
하버드 공중보건대학원과 하버드 의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등 국제 공동 연구팀은 최근 수십 년 동안 50세 미만 대장암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한 것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여성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장기 연구인 ‘Nurses’ Health Study II’의 자료를 활용해 초가공식품 섭취와 대장암 전구 병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1991~2015년까지 2만9105명의 여성(등록 당시 24~42세)을 상대로 진행한 연구에서, 여성들은 4년마다 식단 설문을 작성하고 50세 이전 최소 한 번 이상 대장내시경 또는 하부내시경 검사를 받았다.
연구팀은 이 중 대상자들의 선종과 톱니모양병변 진단 기록을 분석했다. 선종은 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더 높은 병변으로, 용종을 제거한 후 조직을 분석해 암으로 진행할 수 있는 특정 유형임을 확인했을 때 사용하는 진단명이다.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에 따르면 실제 대장암의 약 75%는 선종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톱니모양병변은 선종에 비해 절대적인 암 발생 건수는 작지만, 개별 병변당 암으로 진행될 위험성을 비교할 때는 상황이 다르다. 특정 고위험 톱니 병변은 암으로 발전할 위험도가 높으며, 진행 속도 또한 빠를 수 있다.
분석 결과, 초가공식품 섭취가 많을수록 조기 선종 발생 위험이 뚜렷하게 증가했다. 초가공식품 섭취량이 가장 높은 상위 20% 여성은 가장 낮은 하위 20%와 비교해 50세 이전 선종 진단 위험이 약 45% 높았다. 약 1200명의 여성에게서 선종이 발생했는데, 일일 칼로리 섭취의 3분의 1을 초가공식품으로 채운 그룹에서는 위험이 약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설탕·인공감미료 함량이 높은 식품, 소스·스프레드·조미료류 섭취량이 많은 경우 선종 발생률 상승과 가장 큰 연관성을 보였다. 연구팀의 첸 왕 박사는 “초가공식품이 장내 미생물 군집을 변화시키고 염증을 촉발해 장 점막 세포가 암세포로 발전할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했다. 반면 톱니모양병변과 초가공식품 섭취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이번 연구는 주로 백인 여성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한계가 있다. 첸 왕 박사는 “성별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근거는 없다”며 “초가공식품과 대장암 위험의 연관성이 남성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자마 온콜로지(JAMA Oncology)’에 지난 11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