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은 유머감각이 있는 남성을 선호하고 남성은 외형적으로 매력 있는 여성을 선호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퀸즐랜드대·미국 인디아나대·멕시코 뉴멕시코대 연구팀이 성인 1206명을 대상으로 이성에게 끌릴 때 ▲외형적인 매력 ▲지능 ▲야망 ▲부 ▲유머 ▲친절 중 어떤 요소에 주의를 기울이는지 분석했다. 반대로 본인에게는 어떤 특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도 확인했다.
그 결과, 여성은 남성의 유머감각에 주목했고 남성은 여성의 외형적 매력을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여성은 자신에게는 유머, 부, 야망을 우선 가치로 뒀고 남성은 자신에게 유머, 경제력을 기대했다. 연구에 참여한 남녀가 공통적으로 중시한 요소는 친절이었다.
연구팀은 진화심리학적 측면에서 연구 결과를 분석했다. 연구에 참여한 빌 폰 히펠 박사는 “여성의 외형적인 특성은 건강과 생식 능력 등을 가늠하는 중요한 신호로 작용하기 때문에 남성에게 외형적인 매력이 이성 선택의 기준으로 자리했고 여성은 유머를 비롯해 장기적인 관계 유지에 필요한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온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개인이 갖고자 하는 특성과 상대에게 기대하는 특성을 보여줌으로써 어떤 우선순위를 두느냐가 관계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며 “성별에 따른 차이를 이해하고 서로 어떤 특성을 중요시하는지 인지 및 소통하는 게 바람직한 관계의 첫걸음이다”라고 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진화와 인간 행동(Evolution and Human Behaviour)’에 최근 게재됐다.
호주 퀸즐랜드대·미국 인디아나대·멕시코 뉴멕시코대 연구팀이 성인 1206명을 대상으로 이성에게 끌릴 때 ▲외형적인 매력 ▲지능 ▲야망 ▲부 ▲유머 ▲친절 중 어떤 요소에 주의를 기울이는지 분석했다. 반대로 본인에게는 어떤 특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도 확인했다.
그 결과, 여성은 남성의 유머감각에 주목했고 남성은 여성의 외형적 매력을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여성은 자신에게는 유머, 부, 야망을 우선 가치로 뒀고 남성은 자신에게 유머, 경제력을 기대했다. 연구에 참여한 남녀가 공통적으로 중시한 요소는 친절이었다.
연구팀은 진화심리학적 측면에서 연구 결과를 분석했다. 연구에 참여한 빌 폰 히펠 박사는 “여성의 외형적인 특성은 건강과 생식 능력 등을 가늠하는 중요한 신호로 작용하기 때문에 남성에게 외형적인 매력이 이성 선택의 기준으로 자리했고 여성은 유머를 비롯해 장기적인 관계 유지에 필요한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온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개인이 갖고자 하는 특성과 상대에게 기대하는 특성을 보여줌으로써 어떤 우선순위를 두느냐가 관계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며 “성별에 따른 차이를 이해하고 서로 어떤 특성을 중요시하는지 인지 및 소통하는 게 바람직한 관계의 첫걸음이다”라고 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진화와 인간 행동(Evolution and Human Behaviour)’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