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이미지
터키의 한 80대 여성의 소변이 보라색으로 변한 사례가 보고됐다./사진=큐레우스
정상적인 소변의 색깔은 담황갈색(맥주 한 컵에 물을 타 놓은 색깔)이다. 하지만 터키의 한 80대 여성의 소변이 보라색으로 변한 사례가 보고됐다.

터키 말라티아 푸튀르게 주립병원 가정의료과 의료진에 따르면, 고혈압과 만성신장질환을 앓고 있던 87세 여성은 도뇨관을 삽입한 상태로 가정 간호 서비스를 받고 있었다. 도뇨관은 축적된 소변을 빼내는 역할을 하는 도관을 말한다. 여성은 거동이 불편했고, 요저류(소변이 방광에 고인 채로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상태)를 겪고 있었기 때문에 간병인이 매달 정기적으로 도뇨관을 교체했다.

어느 날, 간병인이 소변 주머니에 든 소변의 색이 보라색으로 변한 것을 발견했다. 여성에게 발열이나 배뇨통 등과 같은 특이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의료진은 도뇨관 관련 무증상 세균뇨와 만성신장질환으로 인한 대사 불균형을 의심했다. 이에 도뇨관과 소변 주머니를 교체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도록 했다. 이후 48시간 동안 뚜렷했던 보라색 변색이 점차 사라지면서 소변이 맑게 회복됐다.

여성이 겪은 증상은 ‘보라색 집뇨관 증후군’으로, 배출되는 소변의 색 자체는 정상이지만 소변이 튜브를 타고 소변 주머니에 들어가는 과정에서 보라색으로 변한다. 오랜 기간 도뇨관을 삽입하거나 만성 변비가 있는 환자, 침대에 누워서 보내는 시간이 많은 고령 환자 등에게 주로 확인된다.

보라색 집뇨관 증후군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트립토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트립토판은 장내 세균에 의해 인돌로 대사되고 간에서 인독실황산염으로 분해돼 소변으로 배출된다. 이때 요도의 박테리아로 인해 인독실황산염이 소변 튜브나 주머니에서 인디루빈(붉은색)과 인디고(청색)로 변환되면 두 물질이 혼합되면서 소변이 보라색을 띨 수 있다.

다만 일시적으로 소변 색이 변할 뿐 그 자체로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병원에서는 소변 튜브와 주머니를 교체하고, 소변 검사를 통해 요로감염 여부를 확인한다. 검사 결과에 따라서 요로감염 치료를 위해 약물 처방을 한다.

이 사례는 ‘큐레우스’ 저널에 지난 6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