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인기를 끈 중국 캐릭터 ‘라부부’의 키링 가품에서 기준치를 수백 배 초과한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지난 5일 관세청은 올해 상반기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온 지식재산권 침해 제품(일명 짝퉁) 가운데 장신구와 라부부 키링 250점을 무작위로 분석한 결과 절반 가까운 112점(44.8%)에서 납·카드뮴·가소제 등 유해 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중국 광군제(11월11일), 미국 블랙프라이데이(11월28일) 등 해외 대규모 할인행사 기간을 앞두고 짝퉁 제품의 반입 급증에 대비해 진행됐다.
특히 최근 유행 중인 ‘몬스터 엘프’ 캐릭터 ‘라부부’의 짝퉁 키링 5점을 정밀 분석한 결과, 이 중 2점에서 국내 안전기준의 344배에 달하는 가소제(DEHP)가 검출됐다. DEHP는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인체 발암가능 물질로 내분비계 교란과 남성의 정자 수 감소, 불임, 조산 등 생식 기능 저하를 유발한다.
또한 귀걸이, 목걸이, 헤어핀 등 짝퉁 금속 장신구 245점 중 110점에서 발암물질이 확인됐다. 일부 제품에서는 납이 허용 기준의 4627배, 카드뮴은 120배, 두 성분을 합치면 최대 5527배까지 검출돼 충격을 줬다. 납과 카드뮴은 중독될 경우 신장·소화기계·생식기계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이명구 관세청장은 “올해 해외직구 규모가 2억건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해외직구 악용사범 단속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5일 관세청은 올해 상반기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온 지식재산권 침해 제품(일명 짝퉁) 가운데 장신구와 라부부 키링 250점을 무작위로 분석한 결과 절반 가까운 112점(44.8%)에서 납·카드뮴·가소제 등 유해 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중국 광군제(11월11일), 미국 블랙프라이데이(11월28일) 등 해외 대규모 할인행사 기간을 앞두고 짝퉁 제품의 반입 급증에 대비해 진행됐다.
특히 최근 유행 중인 ‘몬스터 엘프’ 캐릭터 ‘라부부’의 짝퉁 키링 5점을 정밀 분석한 결과, 이 중 2점에서 국내 안전기준의 344배에 달하는 가소제(DEHP)가 검출됐다. DEHP는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인체 발암가능 물질로 내분비계 교란과 남성의 정자 수 감소, 불임, 조산 등 생식 기능 저하를 유발한다.
또한 귀걸이, 목걸이, 헤어핀 등 짝퉁 금속 장신구 245점 중 110점에서 발암물질이 확인됐다. 일부 제품에서는 납이 허용 기준의 4627배, 카드뮴은 120배, 두 성분을 합치면 최대 5527배까지 검출돼 충격을 줬다. 납과 카드뮴은 중독될 경우 신장·소화기계·생식기계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이명구 관세청장은 “올해 해외직구 규모가 2억건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해외직구 악용사범 단속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