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암 환자가 많아지면서 '가임력 보존'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환자와 의사 대부분이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의료계에서는 암 발병 연령이 낮아진 데 따라 젊은 암 환자의 완치 이후의 삶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에 암을 새롭게 진단받은 20∼39세 환자는 1만9575명에 달한다. 특히 가임력 보존은 저출생 시대 젊은 유방암 환자 등이 증가한 데 따라 관심이 커지는 분야로 꼽힌다.
지난 2일 대한가임력보존학회는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지난해 11~12월 가임기 여성 환자와 이들을 진료하는 의사를 대상으로 '가임력 보존 및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를 시행했다. 학회는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병원 7곳에서 외래 진료를 받은 여성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해 조사했다. 이들 중 유방암 등을 진단받고 가임력 보존 시술을 받은 환자는 53명이었다.
우선 응답자의 83%는 암과 같은 특정 질환의 치료 과정이 가임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걸 알고 있었으나, 나머지인 17%는 이러한 내용을 전혀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질병 치료가 불임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면 가임력 보존을 고려하겠느냐는 질문에는 84.3%가 동의했다. 응답자의 98.0%는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해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임력 보존 시술이 공공 재정으로 지원돼야 한다는 응답자도 88.9%에 달했다.
한정된 재원으로 가임력 보존 시술을 지원할 때의 우선순위는 '출산 계획이 있는 암 치료 대상자'(28.3%)가 1순위였다. 이어 '가임력 감소 가능성이 있는 수술이나 전신 질환'(22.3%), '난소 수술 예정자'(15.5%) 순이었다. 현재 시행되는 가임력 보존 시술의 가장 큰 문제로는 '비용'(34%)이 지목됐다. '정보 부재와 불충분'(26.8%), '정보 획득의 어려움'(15.7%) 등도 문제로 꼽혔다.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 우선순위 지원 대상자 등은 의사들의 답변도 환자와 대동소이했다. 학회의 설문에 참여한 의사 37명 중 83.8%가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지원 1순위는 '출산 계획이 있는 암 치료 예정자'(30.7%)였다. 이어 '미혼 난소기능 저하자'(21.6%), '난소 수술 예정자'(17.0%) 순이었다. 가임력 보존 정보 제공과 시술에 있어 걸림돌은 '비급여 시술로 인한 비용 부담'(22.2%), '불충분한 진료 시간'(18.2%), '홍보 부재'(13.2%)가 꼽혔다.
학회는 "가임력 보존 치료에 있어 정부 지원에 대한 응답자들의 요구도가 높았다"며 "다만 한정적인 재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원 조건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근 의료계에서는 암 발병 연령이 낮아진 데 따라 젊은 암 환자의 완치 이후의 삶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에 암을 새롭게 진단받은 20∼39세 환자는 1만9575명에 달한다. 특히 가임력 보존은 저출생 시대 젊은 유방암 환자 등이 증가한 데 따라 관심이 커지는 분야로 꼽힌다.
지난 2일 대한가임력보존학회는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지난해 11~12월 가임기 여성 환자와 이들을 진료하는 의사를 대상으로 '가임력 보존 및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를 시행했다. 학회는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병원 7곳에서 외래 진료를 받은 여성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해 조사했다. 이들 중 유방암 등을 진단받고 가임력 보존 시술을 받은 환자는 53명이었다.
우선 응답자의 83%는 암과 같은 특정 질환의 치료 과정이 가임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걸 알고 있었으나, 나머지인 17%는 이러한 내용을 전혀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질병 치료가 불임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면 가임력 보존을 고려하겠느냐는 질문에는 84.3%가 동의했다. 응답자의 98.0%는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해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임력 보존 시술이 공공 재정으로 지원돼야 한다는 응답자도 88.9%에 달했다.
한정된 재원으로 가임력 보존 시술을 지원할 때의 우선순위는 '출산 계획이 있는 암 치료 대상자'(28.3%)가 1순위였다. 이어 '가임력 감소 가능성이 있는 수술이나 전신 질환'(22.3%), '난소 수술 예정자'(15.5%) 순이었다. 현재 시행되는 가임력 보존 시술의 가장 큰 문제로는 '비용'(34%)이 지목됐다. '정보 부재와 불충분'(26.8%), '정보 획득의 어려움'(15.7%) 등도 문제로 꼽혔다.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 우선순위 지원 대상자 등은 의사들의 답변도 환자와 대동소이했다. 학회의 설문에 참여한 의사 37명 중 83.8%가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지원 1순위는 '출산 계획이 있는 암 치료 예정자'(30.7%)였다. 이어 '미혼 난소기능 저하자'(21.6%), '난소 수술 예정자'(17.0%) 순이었다. 가임력 보존 정보 제공과 시술에 있어 걸림돌은 '비급여 시술로 인한 비용 부담'(22.2%), '불충분한 진료 시간'(18.2%), '홍보 부재'(13.2%)가 꼽혔다.
학회는 "가임력 보존 치료에 있어 정부 지원에 대한 응답자들의 요구도가 높았다"며 "다만 한정적인 재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원 조건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