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이미지
세 차례에 걸친 코 성형 수술 후 심각한 호흡 문제와 만성적인 감염으로 고통받고 있는 한 여성의 사연이 전해졌다./사진=니드투노우
세 차례에 걸친 코 성형 수술 후 심각한 호흡 문제와 만성적인 감염으로 고통받고 있는 한 여성의 사연이 전해졌다.

지난 29일(현지시간) 외신 매체 니드투노우에 따르면, 아르메니아에 거주하는 여성 알리나 아디클하냔(29)은 지난 2013년, 콧등의 작은 혹을 제거하고 보다 매끄러운 라인을 만들기 위해 첫 수술을 받았다. 당시에는 호흡에 아무 문제가 없었으나, 수술 3년 후부터 콧구멍이 무너지고 숨쉬기가 어려워지며 두통까지 발생하기 시작했다.

2022년에는 호흡 문제를 개선하고자 두 번째 수술을 받았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했고, 2023년 7월에는 세 번째 재수술에서 코 구조를 다시 세우기 위해 비중격과 귀 연골을 이식받았다. 그러나 알리나는 세 차례 수술 모두 상황을 악화시켰다고 주장한다. 그는 “콧구멍은 더 불균형해졌고, 무너짐은 심해졌다”며 “곧 감염과 염증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현재 알리나는 만성 감염과 극심한 통증에 시달리고 있다. 고름 배출과 두통, 발열이 반복되며 호흡조차 힘든 상태다. 알리나는 “지난 2년간 계속된 감염과 고름 배출 때문에 일상생활이 어렵고 자신감도 떨어졌다”고 토로했다.


세 차례 수술 비용은 각각 첫 수술 800파운드(약 150만 원), 두 번째 1000파운드(약 190만 원), 세 번째 600파운드(약 110만 원)였으며, 모두 아르메니아에서 진행됐다. 현재 알리나는 미국과 터키 등에서 호흡을 회복하고 만성 감염을 치료할 수 있는 전문의를 찾고 있다. 그는 “아르메니아에서 약 60명의 의사를 찾아갔지만 대부분 수술을 거부했다”며 “더 이상 이 상태가 일상인 채로 살 수는 없다”고 말했다.

코 성형은 눈 성형 다음으로 많은 사람이 받는 비교적 흔한 성형수술이다. 코 수술은 콧대, 코끝, 콧구멍, 비주(콧구멍 사이 중간 벽), 콧볼 등 부위로 나뉘며, 매부리코 교정, 코끝 조정, 휜 코 교정 등에 활용된다. 대표적인 수술 재료로는 실리콘, 고어텍스, 자가연골이 사용된다.

그러나 코 성형은 다양한 부작용을 동반할 수 있다. 가장 흔한 합병증은 ‘구축’으로, 염증으로 인해 코가 딱딱해지고 쪼그라들면서 들창코나 비대칭이 생기고, 심하면 알리나처럼 호흡 곤란과 통증을 유발한다. 인공 보형물이 들어가면 체내에서 피막이 형성되는데, 피막이 안정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수축하면 코 모양에 영향을 미치고, 세균 감염 위험도 커진다. 오늘성형외과 곽인수 대표원장은 “코 성형 후 특히 높은 코끝, L자형 실리콘 등에서 구축과 염증이 잘 발생한다”며 “수술 기법이나 외상, 감염, 보형물 선택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실제로 재수술 환자의 약 30%에서 감염성 합병증이 보고되며, 인공 보형물로 인한 변형은 재수술 사례의 65%를 차지한다.

코 성형 후에는 첫 수술의 정교함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재수술은 조직 손상과 흉터가 누적되어 훨씬 까다롭다. 재수술 시에는 인공 보형물을 제거하고 자가연골과 자가진피를 활용하면 지지력이 강화되고 구축 재발률을 약 70% 낮출 수 있다. 또한 수술 후 음주·흡연을 피하고 외상을 최소화하는 등 환자 스스로 관리도 중요하다. 곽인수 원장은 “코 성형 수술 후 호흡 문제가 나타날 수 있으며, 재수술 시에도 충분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의사에게 진료받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