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 전공의협의회 사무실./사진=연합뉴스
지난 9월, 전공의들이 19개월 만에 수련병원에 복귀했지만, 일찍 복귀한 전공의를 대상으로 ‘낙인찍기’가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부가 복귀 기간에 따른 불이익을 없애면서, 3월, 6월에 조기 복귀한 전공의들이 역차별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28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사 전용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올해 3월이나 6월 복귀한 전공의들을 협박하고 조롱하는 내용의 게시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해당 글들에는 ‘조금의 손해도 보기 싫어 친구 동료 인맥 다 버리고 (수련 병원에) 들어갔지만 결국 (정부가 9월 복귀자) 선지원 허용해 주면서 평판 바닥, 평생 낙수과행(원하는 과에 합격하지 못함)’, ‘9월턴(9월 복귀 전공의도 내년 레지던트) 지원 가능해져서 (조기 복귀자들) 낙동강 오리알 돼서 어쩌나’ 등의 내용이 담겼다. 

자신을 치프(고연차 레지던트)라고 밝힌 한 작성자는 “3, 6월 전공의 복귀자에게 최하점을 주겠다”고 적기도 했다. 이는 고연차 레지던트가 새로운 레지던트를 뽑을 때 인턴을 평가할 수 있는 위치라는 점을 이용해 3월, 6월 복귀자에게 불이익을 주겠다는 뜻이다.   

이 같은 논란은 정부가 지난 9월 복귀한 전공의들이 내년 초 전문의 시험과 레지던트 모집에 미리 응시할 수 있게 허용하기로 하면서 시작됐다. 의대를 졸업하고 국가시험에 합격해 의사 면허를 취득한 일반의들은 인턴 1년, 레지던트 3∼4년의 전공의 과정을 거친 후 매년 2월 전문의 시험을 치러 전문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지난 9월 수련을 재개한 인턴이나 레지던트 마지막 연차는 내년 8월에 수련을 마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내년 초에 치러지는 전문의 시험이나 레지던트 모집에 응할 수 없다. 수련 종료 후 6개월가량 더 기다려 내후년 초에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전문의 배출 절벽을 최소화하고 레지던트의 수도권, 인기과목 쏠림이 심화하는 걸 막기 위해 동시에 모집하는 방향으로 기울었다는 게 정부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조기에 복귀한 인턴들은 역차별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3월에 복귀한 한 인턴은 “먼저 복귀해 병원 정상화에 기여한 이들이 아무런 차별적 인정 없이 오히려 역차별을 받는 구조가 만들어졌다”라며 “당시 복귀 인턴들은 인력 부족 속에서 과중한 업무를 감내하며, ‘혼자 먼저 복귀했다’는 이유로 동료들로부터 부정적인 시선과 고립까지 견뎌야 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건 개인의 불만이 아니라, ‘공익을 위해 먼저 행동한 사람을 사회가 어떻게 대우하는가’와 관련된 문제”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여러 비판과 우려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듣고 검토했다며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