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의대 정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사직 전공의 상당수가 1일 업무 현장에 복귀했다./사진=연합뉴스
올해 하반기 모집을 통해 8000명에 가까운 전공의들이 수련 현장에 복귀한 것으로 확인됐다.의정 갈등 이전의 76% 수준이다.

2일 보건복지부와 수련환경평가위원회에 따르면 2025년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 총 7984명(모집 인원 대비 59.1%)이 선발됐다. 모집 인원 대비 선발 인원 비율을 연차별로 보면 인턴 52.0%, 레지던트 61.2%였다. 지역별로 선발 인원 비율은 수도권 수련병원이 63.0%, 비수도권 수련병원이 53.5%였다.

이번 하반기 선발 인원과 기존에 수련 중인 인원을 포함한 전체 전공의 규모는 총 1만305명으로, 예년(지난해 3월 기준 임용 대상자 1만3531명) 대비 76.2% 수준을 회복했다. 앞서 올해 6월 기준 전공의 규모는 2532명으로 예년의 18.7%에 그쳤다. 예년 대비 전공의 규모 비율을 연차별로 보면 인턴 61.8%, 레지던트 80.4%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수련병원이 77.2%, 비수도권 수련병원이 74.3% 수준을 회복했다.

과목별로는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응급의학과·심장혈관흉부외과·신경과·신경외과 등 정부의 수련환경 혁신지원 사업 대상인 8개 과목이 예년 대비 70.1%, 그 외 과목은 예년 대비 88.4% 수준이었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상당수 사직전공의가 수련 현장에 복귀함에 따라 의료체계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하면서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필요성도 다시 한번 확인된 만큼 관련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복귀한 전공의들은 근무 첫날 노동조합 설립을 선언했다. 대한전공의노동조합은 오는 14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발대식을 진행한다고 설명하며 “국내 모든 수련병원을 포함하는 전국 단위의 직종별 노조로서 조합이 공식적으로 설립됐다”고 했다.

노조는 “수많은 전공의들이 밤을 지새우며 병원을 지켜왔지만, 그 대가는 과로와 탈진, 인간다운 삶조차 보장받지 못하는 현실이었다”며 “현재의 수련 환경은 전공의의 인권을 짓밟을 뿐 아니라 환자의 안전까지 위협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전공의의 인권을 보장하지 않는 의료 시스템은 결코 올바른 의료로 이어질 수 없기에 더 이상 개인이 아닌 노조의 이름으로 함께 목소리를 내기로 결의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 전공의의 정당한 권리와 인간다운 삶을 지킬 것 ▲ 대한민국 의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사회와 책임을 나눌 것 ▲ 환자 안전과 국민 건강을 최우선의 가치로 삼을 것을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