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얗게 센 머리카락은 단순한 노화의 징후가 아닌, 손상된 세포가 종양화를 막기 위해 스스로 기능을 멈춘 결과일 수 있다. 마치 퓨즈처럼 불이 나는 것을 막는 대신 끊어져 전선의 기능을 잃는 것과 같은 셈이다.
일본 도쿄대 에미 니시무라 교수와 야스아키 모리 교수팀은 머리카락에서 색소를 생성하는 줄기세포가 손상되면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분석했다.
모낭 근처에 있는 색소세포(McSC)는 자외선, 노화, 스트레스, 화학물질 등으로 쉽게 손상된다. 세포의 DNA가 손상되면, 정지와 분화 경로 중 한 가지로 유도된다. 정지 경로를 택하면 세포가 영구적으로 휴면 상태에 들어선다. 스스로 증식 능력을 잃고 색소 생산을 멈춘다. 머리가 희어지는 것이다. 반면, 분화 경로를 택하면 DNA 복구를 시도하다 실패해 증식하고, 돌연변이가 축적돼 피부·모낭 암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진다.
연구팀은 흰머리가 일종의 종양이 생기지 않게 하는 보호 매커니즘으로 해석했다.
연구팀은 생쥐 모델에 색소세포의 정지 경로를 인위적으로 억제한 뒤, 변화를 살펴봤다. 그 결과, 실제로 모낭 종양 발생률이 증가했다. 반대로 정지 경로가 정상 작동할 때는 흰머리가 생기더라도 종양 발병 위험은 감소했다.
연구팀은 "흰머리가 암을 직접적으로 예방한다는 의미는 아니다"면서도 "자연적인 보호 기전으로, 색소 생산 기능을 잃는 매커니즘이 작동하지 않으면 암 발병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했다.
니시무라 교수는 "흰머리와 피부암 중 하나인 흑색종은 서로 무관하지 않고, 줄기세포의 스트레스 반응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가 나타난 것"이라며 "미세환경 신호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했다.
흰머리가 늦게 생기는 사람은 세포 손상에 대한 내성이 높고 노화 속도가 느린 체질일 수 있다. 유전, 환경 등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많아, 단지 머리색 변화 경향성 만으로 단정짓기는 어렵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Nature Cell Biology'에 최근 게재됐다.
일본 도쿄대 에미 니시무라 교수와 야스아키 모리 교수팀은 머리카락에서 색소를 생성하는 줄기세포가 손상되면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분석했다.
모낭 근처에 있는 색소세포(McSC)는 자외선, 노화, 스트레스, 화학물질 등으로 쉽게 손상된다. 세포의 DNA가 손상되면, 정지와 분화 경로 중 한 가지로 유도된다. 정지 경로를 택하면 세포가 영구적으로 휴면 상태에 들어선다. 스스로 증식 능력을 잃고 색소 생산을 멈춘다. 머리가 희어지는 것이다. 반면, 분화 경로를 택하면 DNA 복구를 시도하다 실패해 증식하고, 돌연변이가 축적돼 피부·모낭 암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진다.
연구팀은 흰머리가 일종의 종양이 생기지 않게 하는 보호 매커니즘으로 해석했다.
연구팀은 생쥐 모델에 색소세포의 정지 경로를 인위적으로 억제한 뒤, 변화를 살펴봤다. 그 결과, 실제로 모낭 종양 발생률이 증가했다. 반대로 정지 경로가 정상 작동할 때는 흰머리가 생기더라도 종양 발병 위험은 감소했다.
연구팀은 "흰머리가 암을 직접적으로 예방한다는 의미는 아니다"면서도 "자연적인 보호 기전으로, 색소 생산 기능을 잃는 매커니즘이 작동하지 않으면 암 발병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했다.
니시무라 교수는 "흰머리와 피부암 중 하나인 흑색종은 서로 무관하지 않고, 줄기세포의 스트레스 반응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가 나타난 것"이라며 "미세환경 신호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했다.
흰머리가 늦게 생기는 사람은 세포 손상에 대한 내성이 높고 노화 속도가 느린 체질일 수 있다. 유전, 환경 등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많아, 단지 머리색 변화 경향성 만으로 단정짓기는 어렵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Nature Cell Biology'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