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수돗물 온수로는 음식을 조리하지 않는 게 좋다. 온수와 냉수가 나오는 길이 달라 유해물질 노출 위험이 있어서다.

수돗물 온수와 냉수는 물이 흘러나오는 길이 다르다. 냉수는 수도관을 통해 정수장에서 처리된 물이 가정까지 곧바로 공급되지만 온수는 보일러나 온수기 배관을 거쳐 나온다. 이 과정에서 급수관 내부에 고여 있던 물이 흘러나올 수 있다. 물이 배관이나 보일러 탱크 등에 오래 머무르면서 ​구리, 납, 니켈, 철, 아연 등 ​중금속이 섞일 위험도 존재한다. 특히 물 온도가 높을수록 납 용출량이 많아지고, 오래된 배관일수록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지난 2022년 서울 마포구 소재의 한 아파트의 온수에서 독성물질인 페놀이 음용수 기준치(리터당 0.0005mg) 이상 검출된 사례가 있다.

이러한 중금속은 끓여도 그대로일 위험이 있다. 수돗물 염소 소독 시 생성될 수 있는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이나 박테리아 등은 끓이는 과정에서 충분히 제거되지만 중금속은 제거되지 않는다.

수돗물을 안전하게 섭취하려면 음식 조리 시에는 냉수를 사용해야 한다. 세계보건기구(WHO)·미국 환경보호청(EPA)도 음용, 요리 시 냉수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권고한다. 수돗물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았다면, 불순물 배출을 위해 물을 10~30초 흘려보낸 뒤 사용하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