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최근 5년간 의약품 중독으로 진료받은 10대 청소년 환자는 약 4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최근 5년간 의약품 중독으로 진료받은 환자가 8만명을 넘어섰다. 이 중 10대 청소년 환자는 약 4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의약품 중독 진료 현황’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의약품 중독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총 8만268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6월 기준 의약품 중독 진료를 받은 환자는 7828명이다. 의약품 중독 환자는 2020년 1만6256명에서 지난해 1만6018명으로 1.46% 감소했으나, 10대 환자는 같은 기간 1375명에서 1918명으로 39.49%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1만4949명(18.6%)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40대 1만1473명(14.3%), 50대 1만623명(13.2%), 30대 9757명(12.2%), 10대 8964명(11.2%) 순이었다.


10대에서 의약품 중독이 늘고 있는 이유는 약물 접근이 쉬워졌기 때문이다. 청소년들은 불면·피로·체중 조절 등 신체적 불편을 해소하려는 목적으로 수면제, 진통제, 식욕억제제 등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약국이나 온라인에서 처방전 없이 구매할 수 있는 의약품이 많아지며, 부작용에 대한 인식 없이 반복 복용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이런 약물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하거나 흥분시키는 작용을 해 의존성과 내성이 빠르게 생긴다. 장기적으로는 기억력 저하·불안·우울 등 정신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남 의원은 “의약품 중독은 수면제, 해열제, 식욕억제제 등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약물을 과다하게 복용하거나 장기간 남용하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며 “전체 환자는 줄고 있지만, 10대 의약품 중독 환자가 급증하는 추세는 심각한 신호”라고 말했다. 이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청소년들이 일상에서 의약품을 쉽게 오남용하지 않도록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