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편리하다는 이유로 전기밥솥 내솥에 직접 쌀을 씻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이러한 습관이 반복되면 코팅이 빨리 벗겨져 신장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며 치매 위험까지 높일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최근 상명대 화학에너지공학과 강상욱 교수는 유튜브 채널 ‘의사친’에서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된 내솥은 코팅이 벗겨질 경우 알루미늄이 노출돼 밥을 지을 때 미세한 알루미늄 조각이 용출돼 밥과 함께 섭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알루미늄은 섭취하더라도 대부분 신장을 통해 배출돼 문제가 없다. 하지만 신장 기능이 떨어지면 체내에 돌다가 서서히 축적된다. 특히 뇌에 축적될 경우, 치매와도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강 교수는 설명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도 알루미늄 식기를 통해 알루미늄에 노출되지 않도록 산도가 높은 음식은 보관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다.

실제로 전기밥솥 내솥은 밥알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열손실을 막기 위해 불화탄소수지로 화학 코팅을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내솥에서 딱딱한 쌀을 씻다 보면 쌀 알갱이가 내솥을 긁게 되고, 코팅제에 미세한 틈이 생길 수 있다. 문제는 코팅이 벗겨진 내솥에서 알루미늄 등의 중금속 성분이 용출된다는 것이다. 지어진 밥과 함께 섭취할 가능성이 크다. 알루미늄은 체내 흡수가 적은 편이나 극소량이라도 장기간에 걸쳐 체내에 쌓이면 뇌, 신장 등에 해로운 영향을 끼친다. 신진대사와 에너지 순환을 방해해 장기적으로 면역세포를 파괴하기도 한다. 밥솥 제조업체 역시 내솥에 코팅제가 벗겨진 경우 교체할 것을 권고한다.


최근 시판 전기밥솥은 알루미늄 대신 스테인리스 소재를 코팅 처리한 내솥을 쓰는 경우가 많다. 다만 강 교수는 “스테인리스 제품이라고 안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스테인리스 코팅이 벗겨지면 스테인리스가 노출되는데 이 상태에서 요리하면 니켈, 크롬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내솥에서 쌀을 씻는 행위가 코팅이 빨리 벗겨지게 하는 지름길이락 강 교수는 강조했다.

내솥의 사용기간은 보통 2년으로 보는데, 쌀을 내솥에다 씻어버리면 사용 기간은 더 짧아질 수밖에 없다. 내솥 수명을 늘리려면 별도 그릇에서 쌀을 씻은 뒤 옮겨 담고, 금속 주걱·철 수세미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더러워진 내솥은 부드러운 스펀지를 사용해 살살 문질러 세척한다. 베이킹소다를 푼 물로 내솥 안쪽뿐 아니라 바깥쪽까지 꼼꼼히 세척한다. 세척을 완료한 내솥은 완전히 건조한 뒤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