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국내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인과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 환자가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치료받지 않는 감염인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공공책임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HIV는 바이러스 자체이고, AIDS(에이즈)는 HIV 감염으로 인해 면역 세포가 파괴돼 면역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된 상태를 칭하는 증후군이다. 즉, HIV에 감염된 모든 사람이 에이즈 환자가 되는 것은 아니며, HIV 감염인 중 일부가 면역력이 떨어져 에이즈로 발병하게 된다. 통상 HIV 감염인이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50%에게서 10년 이내 에이즈가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AIDS(후천성면역결핍증) 감염인 수는 2020년 1만4528명에서 2024년 1만7015명으로 5년간 17.1% 증가했다. 특히 70세 이상 고령 감염인이 57%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이즈는 치료법이 발달해 더 이상 '불치병'으로 불리지 않는다. 국내 HIV 감염인 중 치료받는 이들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감염인 정보가 관할 보건소에 한정되며 진료만 받고 급여 신청을 하지 않은 사람은 국가 통계에서 누락되는 구조에 여전히 어디서, 누가 치료를 포기했는지에 대한 정보는 파악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실제 감염인 수와 질병청이 파악하는 수치 간의 괴리가 발생하고 있다. 일부 감염인이 치료를 중단하거나 해외에서 진료를 받는 경우, 국가가 이를 파악할 방법이 없어 감염인 지원체계 마련을 위한 최소한의 실태조차 제대로 확인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대해 서미화 의원은 “HIV 감염은 치료만 받으면 일반적인 기대수명을 누릴 수 있는 감염병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낙인과 제도 장벽이 감염인을 제도 밖으로 밀어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서 의원은 “감염인을 통제의 대상으로 보기보다, 제도권 안에서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국가가 손 내미는 시스템 전환이 필요하다”며 “감염인에 대한 정확한 기초 정보 체계 구축 역시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한편, HIV 주요 감염 경로는 ▲주사기 ▲모유 수유 ▲성행위 등이다. 에이즈로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치료하면 예후가 좋기 때문에 감염이 의심될 때는 바로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전국 가까운 보건소에서 무료 익명검사가 가능하다.

HIV는 감염 초기에 증상이 나타났다가 7~10년간 무증상 잠복기를 거친다. 따라서 초기에 증상을 잘 따져봐야 한다. 급성 HIV 증후군은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난 후 3~6주 후에 발생한다. 감기 몸살처럼 두통, 발열, 인후 통증, 임파선 비대, 근육통, 구역, 구토, 피부의 구진성 발진, 관절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에는 뇌수막염, 뇌염, 근병증(근육 조직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병적인 상태)이 동반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