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립선암은 간단한 혈액검사(PSA, 전립선특이항원)만으로도 조기 선별이 가능한 암이다. 특히, 50세 이상의 남성 발병률이 높아 정기적인 검진을 통한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전립선암, 남성 암 4위에서 2위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 전립선암 발생자수는 2017년 대비 약 58% 증가했다. 이는 국내 암 발생자 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수치다. 환자 수 자체도 많다. 2022년 우리나라에서는 28만2047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는데, 그 중 전립선암은 2만754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7.4%를 차지했다. 남성 암 발생 순위도 4위에서 2위까지 상승했다. 1위는 폐암이고 3위는 대장암, 위암, 간암 순이다.
전립선암 증가 추세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다. 다만 평균 수명의 증가와 서구화된 생활습관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으로 여겨진다. 전립선암은 과거 고위층이나 부유한 가정에서 육류를 많이 먹은 사람들한테 발병한다고 해서 ‘황제의 암’이라 불렸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단이 채식 위주에서 기름진 육식 위주로 빠르게 변했고, 전립선암과 대장암 발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PSA 수치 높으면 정밀 검사 받아야
전립선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게 문제다. 경희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정우 교수는 “건강검진 중 PSA 수치가 상승했거나, 빈뇨, 야간뇨 등 배뇨 증상 개선을 위해 병원을 찾았다가 진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PSA는 전립선에서만 생성되는 단백질이다. 정상의 기준은 3ng/mL 미만이다. 그보다 높으면 MRI 등 정밀 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암으로 의심되면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한다. 단, 수치가 높다고 해서 모두 전립선암은 아니다. 전립선염이나 전립선비대증 등에 의해서도 PSA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이정우 교수는 “환자의 90%가 60세 이상이고 고령일수록 발병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50세 이상 남성이라면 매년 정기적으로 PSA 검사를 받아야 하고, 가족력이 있다면 45세부터 검사받는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로봇·방사선 발전으로 기능 보존과 회복력 개선
암이 전립선에만 국한된 전립선암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는 치료법은 암을 완전히 제거하는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로 전립선과 정낭을 제거한 뒤 방광과 요도를 이어주는 수술이다. 전립선은 골반 깊숙한 곳에 위치해 있고 주변에 신경과 혈관 다발이 있어 개복 수술 시 시야 확보가 어려워 상당한 출혈과 요실금·발기부전 등의 합병증 위험이 높다.
최근에는 합병증 위험을 줄인 로봇수술과 방사선 치료가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이정우 교수는 “로봇수술은 고해상도 카메라로 시야 확보가 우수하고, 로봇 팔의 정밀한 움직임으로 출혈 및 합병증 발생이 적으며 수술 후 회복이 빠르다”며 “최근에는 비용이 높아도 환자 만족도 측면에서 로봇수술의 선호도가 높은 추세”라고 덧붙였다.
전립선암은 방사선 치료 반응이 우수한 암으로 1차 치료로 권고된다. 전립선에만 암이 국한되어 있거나 주변 림프절 침범은 있지만 원격전이가 없다면 방사선 단독 또는 호르몬 치료와 병행해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경희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김영경 교수는 “최근에는 치료 부위에만 고선량의 방사선을 집중 전달해 주변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는 세기조절 방사선 치료나 치료 부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영상 유도 방사선 치료를 주로 시행한다”며 “특히, 신체 표면을 추적하는 표면유도 방사선 치료(SGRT) 기술은 피부에 표식을 남기지 않고도 환자의 미세한 움직임까지 실시간으로 추적이 가능해 더욱 정밀한 방사선 치료가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전립선암, 남성 암 4위에서 2위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 전립선암 발생자수는 2017년 대비 약 58% 증가했다. 이는 국내 암 발생자 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수치다. 환자 수 자체도 많다. 2022년 우리나라에서는 28만2047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는데, 그 중 전립선암은 2만754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7.4%를 차지했다. 남성 암 발생 순위도 4위에서 2위까지 상승했다. 1위는 폐암이고 3위는 대장암, 위암, 간암 순이다.
전립선암 증가 추세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다. 다만 평균 수명의 증가와 서구화된 생활습관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으로 여겨진다. 전립선암은 과거 고위층이나 부유한 가정에서 육류를 많이 먹은 사람들한테 발병한다고 해서 ‘황제의 암’이라 불렸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단이 채식 위주에서 기름진 육식 위주로 빠르게 변했고, 전립선암과 대장암 발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PSA 수치 높으면 정밀 검사 받아야
전립선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게 문제다. 경희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정우 교수는 “건강검진 중 PSA 수치가 상승했거나, 빈뇨, 야간뇨 등 배뇨 증상 개선을 위해 병원을 찾았다가 진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PSA는 전립선에서만 생성되는 단백질이다. 정상의 기준은 3ng/mL 미만이다. 그보다 높으면 MRI 등 정밀 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암으로 의심되면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한다. 단, 수치가 높다고 해서 모두 전립선암은 아니다. 전립선염이나 전립선비대증 등에 의해서도 PSA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이정우 교수는 “환자의 90%가 60세 이상이고 고령일수록 발병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50세 이상 남성이라면 매년 정기적으로 PSA 검사를 받아야 하고, 가족력이 있다면 45세부터 검사받는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로봇·방사선 발전으로 기능 보존과 회복력 개선
암이 전립선에만 국한된 전립선암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는 치료법은 암을 완전히 제거하는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로 전립선과 정낭을 제거한 뒤 방광과 요도를 이어주는 수술이다. 전립선은 골반 깊숙한 곳에 위치해 있고 주변에 신경과 혈관 다발이 있어 개복 수술 시 시야 확보가 어려워 상당한 출혈과 요실금·발기부전 등의 합병증 위험이 높다.
최근에는 합병증 위험을 줄인 로봇수술과 방사선 치료가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이정우 교수는 “로봇수술은 고해상도 카메라로 시야 확보가 우수하고, 로봇 팔의 정밀한 움직임으로 출혈 및 합병증 발생이 적으며 수술 후 회복이 빠르다”며 “최근에는 비용이 높아도 환자 만족도 측면에서 로봇수술의 선호도가 높은 추세”라고 덧붙였다.
전립선암은 방사선 치료 반응이 우수한 암으로 1차 치료로 권고된다. 전립선에만 암이 국한되어 있거나 주변 림프절 침범은 있지만 원격전이가 없다면 방사선 단독 또는 호르몬 치료와 병행해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경희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김영경 교수는 “최근에는 치료 부위에만 고선량의 방사선을 집중 전달해 주변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는 세기조절 방사선 치료나 치료 부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영상 유도 방사선 치료를 주로 시행한다”며 “특히, 신체 표면을 추적하는 표면유도 방사선 치료(SGRT) 기술은 피부에 표식을 남기지 않고도 환자의 미세한 움직임까지 실시간으로 추적이 가능해 더욱 정밀한 방사선 치료가 가능해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