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유방암은 여느 암과 마찬가지로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예후가 좋고 생존율도 높은 암이지만,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다. 유방암을 의심할 수 있는 징후들에 대해 알아본다.

멍울=유방암의 가장 흔한 증상이 가슴에 멍울이 잡히는 것이다. 미국암협회에 따르면 유방에 완두콩만큼 작은 덩어리가 느껴지면 정밀 검진을 받아야 한다. 멍울을 확인하려면 왼쪽 팔을 든 채 오른쪽 손의 가운데 세 손가락으로 왼쪽 가슴을 젖꼭지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원을 그리듯 넓혀가면서 만져보면 된다. 반대쪽 팔을 들어 같은 식으로 오른쪽 유방을 만져본다. 팔을 위로 드는 이유는, 유방 안에 있는 근육이 당겨지면서 멍울을 피부쪽으로 밀어내 손에 더 잘 잡히게 하기 때문이다. 멍울을 손으로 만졌을 때 통증이 없고, 딱딱하고, 울퉁불퉁하고, 잘 움직이지 않으면 암일 수 있다.
가슴이나 겨드랑이 부위에 혹이 만져진다면, 유방 전문의를 찾아 유방촬영과 초음파 검사를 먼저 받아야 한다. 이후 암이 의심될 경우 조직검사를 시행하며, 필요에 따라 MRI(자기공명영상)나 CT(컴퓨터단층촬영) 등 정밀 영상 검사를 통해 병의 범위와 전이 여부를 판단한다.

유방 통증=유방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생리 주기이며, 임신이나 유방염증 등으로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통증이 ▲2주 이상 매일 지속되는 경우 ▲유방의 특정 부위에만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되는 경우 ▲통증으로 잠에서 깨는 등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경우 전문의와 상담 후에 영상 검사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


피 섞인 분비물=부드럽게 유두를 짰을 때 피가 섞인 분비물이 나오면 암을 의심할 수 있다. 유두에서 젖이나 맑은 물이 나오면 대부분 유방암이 아니다. 일부 유선을 자극하는 약물(소화제 등)을 복용했을 때 맑은 물이나 젖이 나오기도 한다.

모양 변화=유방 피부나 유두 모양에 변화가 있는지 살피는 것도 중요하다. 피부나 유두가 안으로 함몰되면 암을 의심할 수 있다. 암세포는 주변 조직에 엉겨 붙고 섬유화(딱딱해지는 것)되면서 유두와 연결된 유관이나 주변 조직들을 안쪽으로 당길 수 있다. 유두 주위가 헐어 진물이 나거나 딱지가 생기는 것도 유방암 위험 신호다.

한편, 유방암 예방은 정기적인 검진이 가장 기본이다. 40세 이상 여성은 국가암검진을 통해 2년마다 유방촬영을 받을 수 있다. 가족력이 있다면 30대부터라도 1~2년마다 정기적인 유방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이 외에도 유두 분비물, 만져지는 혹 등의 증상이 느껴질 때는 즉시 병원을 찾아 초음파 검사를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