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수록 시야가 흐릿하거나 글씨가 찌그러져 보이는 증상이 심해진다면 단순 노안이 아닌 ‘황반변성’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황반변성은 눈 안쪽 망막 중심부인 황반이 손상되며 시력 저하나 실명을 초래할 수 있는 대표적인 퇴행성 안질환이다. 특히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부위에 이상이 생기기 때문에 독서나 운전, 일상생활 전반에 큰 불편을 준다.
황반변성은 진행 양상에 따라 건성과 습성으로 나뉜다. 건성은 노폐물인 드루젠이 쌓여 산소와 영양분의 정상적인 공급이 어려워지는데 황반변성 환자 중 80%에게서 나타난다. 습성은 비정상적인 신생혈관이 자라나면서 출혈과 부종을 일으켜 시력이 급격히 저하된다. 이 중 습성 황반변성은 진행 속도가 빠르고 실명 위험이 높아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건성 황반변성의 경우 항산화제 복용, 루테인·아연·비타민C·E 등 영양소 보충을 통해 진행을 늦추는 것이 도움이 된다. 습성 황반변성의 대표적인 치료방법은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주사치료다.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고 시력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 치료는 눈 속 유리체강에 약물을 주입해 비정상 혈관의 성장을 막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술은 국소마취 하에 짧은 시간 동안 이루어지며, 큰 통증이 없이 진행된다. 일부 환자에게는 이물감이나 불편감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대부분 빠르게 회복된다.
황반변성 주사치료는 한 번으로 끝나지 않는다. 질환의 활성도를 지속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일정 간격의 반복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 간격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또한 시력 검사를 비롯해 빛간섭단층촬영(OCT) 등 정밀 검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해 질환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항체 주사치료를 꾸준히 진행한다면 시력 저하를 늦추고 일상생활에 불편함 없는 시야를 유지할 수 있다.
황반변성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려운 질환인 만큼 예방과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자외선 차단, 항산화 식단 유지,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 조절 등 생활습관 관리와 함께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황반 건강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칼럼은 하늘안과의원 유형곤 센터장의 기고입니다.)
황반변성은 진행 양상에 따라 건성과 습성으로 나뉜다. 건성은 노폐물인 드루젠이 쌓여 산소와 영양분의 정상적인 공급이 어려워지는데 황반변성 환자 중 80%에게서 나타난다. 습성은 비정상적인 신생혈관이 자라나면서 출혈과 부종을 일으켜 시력이 급격히 저하된다. 이 중 습성 황반변성은 진행 속도가 빠르고 실명 위험이 높아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건성 황반변성의 경우 항산화제 복용, 루테인·아연·비타민C·E 등 영양소 보충을 통해 진행을 늦추는 것이 도움이 된다. 습성 황반변성의 대표적인 치료방법은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주사치료다.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고 시력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 치료는 눈 속 유리체강에 약물을 주입해 비정상 혈관의 성장을 막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술은 국소마취 하에 짧은 시간 동안 이루어지며, 큰 통증이 없이 진행된다. 일부 환자에게는 이물감이나 불편감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대부분 빠르게 회복된다.
황반변성 주사치료는 한 번으로 끝나지 않는다. 질환의 활성도를 지속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일정 간격의 반복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 간격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또한 시력 검사를 비롯해 빛간섭단층촬영(OCT) 등 정밀 검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해 질환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항체 주사치료를 꾸준히 진행한다면 시력 저하를 늦추고 일상생활에 불편함 없는 시야를 유지할 수 있다.
황반변성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려운 질환인 만큼 예방과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자외선 차단, 항산화 식단 유지,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 조절 등 생활습관 관리와 함께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황반 건강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칼럼은 하늘안과의원 유형곤 센터장의 기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