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방송인 장영란(47)이 난임으로 힘들었던 시기를 회상했다.
지난 15일 유튜브 채널 ‘A급 장영란’에 공개된 영상에서 장영란은 결혼 9개월 차인 스타일리스트의 신혼집을 찾았다. 장영란이 고민을 묻자 스타일리스트는 “아기”라고 답하며 “할 일이 너무 많으니 지금 시기에 아기를 가져도 될지, 걱정이 많다”고 했다. 이에 장영란은 “정말 집 사는 것도 어렵고, 둘 다 맞벌이다 보니 애를 낳아서 어떻게 키우냐”며 “(스타일리스트의) 일이 요새 많다”고 했다. 그러자 스타일리스트는 “경력 단절이 무섭다”고 털어놨고, 장영란은 “쉽게 ‘낳아라, 말아라’라고 말 못 하겠다”며 “그건 네 인생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장영란은 자신의 경험도 고백했다. 장영란은 “나는 2년 동안 난임부부였다”며 “자궁외임신을 하고 수술로 떼어낸 뒤 힘들게 첫째 지우를 낳았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솔직히 말해서 세 배로 힘들긴 했다”고 했다. 장영란은 또 “나중에 준비돼서 ‘우리 돈 다 벌었으니 아이 갖자’고 하면 그때 또 안 생긴다”며 “지금부터 열어놔야 한다”고 조언했다.
자궁외임신은 수정란이 정상 착상 위치인 자궁 내부가 아닌 난관(난소에서 나온 난자를 자궁까지 운반하는 곳), 난소, 자궁 경부, 복강 등 다른 부위에 착상되는 임신이다. 전체 임신의 약 1~2%에서 발생하며, 이 중 약 95%는 난관에서 일어난다. 난관이 손상되거나 막혀 수정란이 자궁으로 이동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가장 흔한 초기 증상은 생리 주기와 맞지 않는 비정상적인 출혈이다. 자궁 내 임신과 달리 호르몬 수치가 충분히 상승하지 않아 자궁내막의 탈락막(월경 전 떨어지기 전의 자궁내막 상태)이 떨어지면서 출혈이 생긴다. 갈색빛의 출혈이 소량 나타나며, 이를 생리로 착각해 진단이 늦어질 수 있다. 또한 아랫배 양쪽에 통증이 느껴질 수 있다. 임신 6~8주 사이에는 통증이 심해지고 출혈이 동반되면 자궁외임신 가능성을 의심해 봐야 한다. 어지럼증이나 실신, 어깨 통증까지 나타난다면 복강 내 출혈 가능성이 높아 즉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진단은 초음파 검사와 혈중 호르몬 수치(특히 프로게스테론, hCG)를 통해 이뤄진다. 조기에 발견하면 난관을 절제하지 않고 임신 조직만 제거하거나, 약물 치료로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조직이 커지거나 출혈이 심하면 난관을 절제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착상 부위가 자궁 경부나 복강 등인 경우에는 자궁 적출까지 필요한 경우도 있어,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자궁외임신 예방을 위해서는 골반염·성 매개 감염 예방이 중요하다. 세균 감염이나 성병으로 인한 난관 손상은 주요 위험 요인이다. 흡연은 난관 기능 저하뿐 아니라 전체적인 생식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치므로 금연이 권장된다. 또한 과거 자궁외임신을 경험했거나, 난관 수술을 받은 여성, 자궁내막증이 있는 경우, 고령 또는 난소기능 저하가 있는 경우 위험이 크다.
2019년 발표된 서울대병원과 고대구로병원의 공동연구에 따르면, 난소기능이 저하된 여성은 체외수정(IVF) 시 자궁외임신 위험이 정상군보다 약 다섯 배 높았다.
한편, 자궁외임신으로 생긴 태아의 생존율은 10% 미만으로 매우 낮다. 또한 생존하더라도 선천적 장애나 뇌 손상 위험이 크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다. 임신을 계획 중인 여성이라면 생리 주기 이상, 초기 출혈, 복부 통증 등을 가볍게 넘기지 말고 신속하게 진료받아야 한다.
지난 15일 유튜브 채널 ‘A급 장영란’에 공개된 영상에서 장영란은 결혼 9개월 차인 스타일리스트의 신혼집을 찾았다. 장영란이 고민을 묻자 스타일리스트는 “아기”라고 답하며 “할 일이 너무 많으니 지금 시기에 아기를 가져도 될지, 걱정이 많다”고 했다. 이에 장영란은 “정말 집 사는 것도 어렵고, 둘 다 맞벌이다 보니 애를 낳아서 어떻게 키우냐”며 “(스타일리스트의) 일이 요새 많다”고 했다. 그러자 스타일리스트는 “경력 단절이 무섭다”고 털어놨고, 장영란은 “쉽게 ‘낳아라, 말아라’라고 말 못 하겠다”며 “그건 네 인생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장영란은 자신의 경험도 고백했다. 장영란은 “나는 2년 동안 난임부부였다”며 “자궁외임신을 하고 수술로 떼어낸 뒤 힘들게 첫째 지우를 낳았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솔직히 말해서 세 배로 힘들긴 했다”고 했다. 장영란은 또 “나중에 준비돼서 ‘우리 돈 다 벌었으니 아이 갖자’고 하면 그때 또 안 생긴다”며 “지금부터 열어놔야 한다”고 조언했다.
자궁외임신은 수정란이 정상 착상 위치인 자궁 내부가 아닌 난관(난소에서 나온 난자를 자궁까지 운반하는 곳), 난소, 자궁 경부, 복강 등 다른 부위에 착상되는 임신이다. 전체 임신의 약 1~2%에서 발생하며, 이 중 약 95%는 난관에서 일어난다. 난관이 손상되거나 막혀 수정란이 자궁으로 이동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가장 흔한 초기 증상은 생리 주기와 맞지 않는 비정상적인 출혈이다. 자궁 내 임신과 달리 호르몬 수치가 충분히 상승하지 않아 자궁내막의 탈락막(월경 전 떨어지기 전의 자궁내막 상태)이 떨어지면서 출혈이 생긴다. 갈색빛의 출혈이 소량 나타나며, 이를 생리로 착각해 진단이 늦어질 수 있다. 또한 아랫배 양쪽에 통증이 느껴질 수 있다. 임신 6~8주 사이에는 통증이 심해지고 출혈이 동반되면 자궁외임신 가능성을 의심해 봐야 한다. 어지럼증이나 실신, 어깨 통증까지 나타난다면 복강 내 출혈 가능성이 높아 즉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진단은 초음파 검사와 혈중 호르몬 수치(특히 프로게스테론, hCG)를 통해 이뤄진다. 조기에 발견하면 난관을 절제하지 않고 임신 조직만 제거하거나, 약물 치료로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조직이 커지거나 출혈이 심하면 난관을 절제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착상 부위가 자궁 경부나 복강 등인 경우에는 자궁 적출까지 필요한 경우도 있어,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자궁외임신 예방을 위해서는 골반염·성 매개 감염 예방이 중요하다. 세균 감염이나 성병으로 인한 난관 손상은 주요 위험 요인이다. 흡연은 난관 기능 저하뿐 아니라 전체적인 생식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치므로 금연이 권장된다. 또한 과거 자궁외임신을 경험했거나, 난관 수술을 받은 여성, 자궁내막증이 있는 경우, 고령 또는 난소기능 저하가 있는 경우 위험이 크다.
2019년 발표된 서울대병원과 고대구로병원의 공동연구에 따르면, 난소기능이 저하된 여성은 체외수정(IVF) 시 자궁외임신 위험이 정상군보다 약 다섯 배 높았다.
한편, 자궁외임신으로 생긴 태아의 생존율은 10% 미만으로 매우 낮다. 또한 생존하더라도 선천적 장애나 뇌 손상 위험이 크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다. 임신을 계획 중인 여성이라면 생리 주기 이상, 초기 출혈, 복부 통증 등을 가볍게 넘기지 말고 신속하게 진료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