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간 불평등’이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시간 불평등이란 충분한 휴식과 운동, 수면 등 건강 관리를 위한 시간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를 의미한다.
호주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즈대 연구진은 최근 발표한 리뷰·개념 제안 논문에서 “영국과 미국 등 고소득 국가에서도 시간 부족이 치매 예방에 필요한 건강 행동을 제한하고, 결과적으로 인지 기능 저하와 질환 위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시간은 교육이나 소득만큼이나 뇌 건강의 중요한 사회적 결정 요인”이라며 “현대 사회의 ‘시간 빈곤’이 치매 위험을 높이는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디지털 기기 사용 증가, 불규칙한 근무 형태, 장시간 노동, 휴식 부족 등을 대표적인 시간 불평등 요인으로 지목했다. 이러한 요인들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고 만성 스트레스와 인지 과부하를 유발해 뇌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저소득층, 돌봄 노동자, 교대 근무자 등은 구조적으로 자유 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기 어렵다. 연구진은 “시간 자원의 불균형은 건강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결국 치매 위험을 높이는 사회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영국에서는 약 94만 4000명, 미국에서는 약 700만 명이 치매를 앓고 있으며, 이 중 알츠하이머병이 전체의 약 60%를 차지한다. 국내 치매 환자 수는 올해 기준 약 97만 명으로, 내년에는 1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치매는 완치가 어렵지만, 조기 진단과 생활습관 관리로 발병 시기를 늦추거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역시 ‘충분한 수면, 신체활동, 사회적 교류, 균형 잡힌 식사’ 등을 치매 예방의 핵심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다.
연구진은 “기술 발전으로 효율성은 높아졌지만, 역설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만성적인 시간 빈곤 상태에 처해 있다”며 “이러한 불평등은 수면 장애, 스트레스, 회복력 저하를 통해 인지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했다. 또한 “시간이 불균형하게 분배될수록 뇌 건강을 지키기 위한 생활 습관을 실천할 여지가 줄어들어, 치매 예방에서도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시간 불평등을 해소하기 어렵다고 강조하며, 노동시간 단축·유연근무제 도입·돌봄 지원 확대 등 사회적·구조적 정책 개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호주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즈대 연구진은 최근 발표한 리뷰·개념 제안 논문에서 “영국과 미국 등 고소득 국가에서도 시간 부족이 치매 예방에 필요한 건강 행동을 제한하고, 결과적으로 인지 기능 저하와 질환 위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시간은 교육이나 소득만큼이나 뇌 건강의 중요한 사회적 결정 요인”이라며 “현대 사회의 ‘시간 빈곤’이 치매 위험을 높이는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디지털 기기 사용 증가, 불규칙한 근무 형태, 장시간 노동, 휴식 부족 등을 대표적인 시간 불평등 요인으로 지목했다. 이러한 요인들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고 만성 스트레스와 인지 과부하를 유발해 뇌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저소득층, 돌봄 노동자, 교대 근무자 등은 구조적으로 자유 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기 어렵다. 연구진은 “시간 자원의 불균형은 건강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결국 치매 위험을 높이는 사회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영국에서는 약 94만 4000명, 미국에서는 약 700만 명이 치매를 앓고 있으며, 이 중 알츠하이머병이 전체의 약 60%를 차지한다. 국내 치매 환자 수는 올해 기준 약 97만 명으로, 내년에는 1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치매는 완치가 어렵지만, 조기 진단과 생활습관 관리로 발병 시기를 늦추거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역시 ‘충분한 수면, 신체활동, 사회적 교류, 균형 잡힌 식사’ 등을 치매 예방의 핵심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다.
연구진은 “기술 발전으로 효율성은 높아졌지만, 역설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만성적인 시간 빈곤 상태에 처해 있다”며 “이러한 불평등은 수면 장애, 스트레스, 회복력 저하를 통해 인지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했다. 또한 “시간이 불균형하게 분배될수록 뇌 건강을 지키기 위한 생활 습관을 실천할 여지가 줄어들어, 치매 예방에서도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시간 불평등을 해소하기 어렵다고 강조하며, 노동시간 단축·유연근무제 도입·돌봄 지원 확대 등 사회적·구조적 정책 개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랜싯 건강한 장수(The Lancet Healthy Longevity)’ 지난 13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