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유명 메이크업 아티스트 이사배(37)가 배우 이민정(43)의 화장품 파우치를 확인하고 경악했다.
지난 14일 유튜브 채널 ‘이민정 MJ’에는 ‘근데 이민정 파우치 보고 경악을 금치 못함. MJ 똥손 탈출 메이크업’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에서 이민정은 이사배에게 화장을 배웠다. 화장을 시작하기 전 이민정의 화장품 파우치를 확인한 이사배는 유통기한이 지난 화장품을 여러 개 발견해 충격을 받았다.
이민정의 화장품 파우치에서는 수년 전 판매된 섀도우 팔레트가 발견됐다. 이민정이 “이거는 진짜 역사가 한 8년 됐다”고 하자, 이사배는 “이거 바르다가 트러블이 날 수 있다”며 “버려도 되냐”고 말했다. 이사배는 “이런 거는 1년 정도만 써야 한다”며 화장품 유통기한을 지킬 것을 강조했다. 이어 파우치에서 나온 립밤과 립스틱의 유통기한을 확인하며 “이것도 입술에 뭐 날 것 같아서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오래된 화장품, 피부염·뇌수막염 위험
유통기한이 지난 화장품을 버리지 않고 그대로 쓰면 피부 트러블, 접촉성 피부염 등이 생길 수 있다. 특히 립스틱, 립밤처럼 입술에 바르는 제품은 구매한 지 6개월 내로 다 쓰는 게 좋다. 물과 지방 성분으로 구성돼있어 세균이 잘 번식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입술에 바르는 제품은 공기와 피부에 자주 닿아 세균에 노출되기 쉽다. 립 메이크업 제품에서 ▲찌든 내 또는 쉰내가 나거나 ▲액체가 위에 뜨는 등 층 분리 현상이 나타나거나 ▲향·색깔이 변했거나 ▲내용물이 굳었다면 바로 버리는 게 좋다. 그냥 발랐다간 세균에 감염돼 입술에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아이라이너와 마스카라, 아이섀도우도 마찬가지다. 눈 점막에 직접 닿는 화장품인 만큼 청결하게 관리하고, 6개월 이내에 쓰는 게 좋다.
오래된 화장품은 피부뿐만 아니라 뇌수막염까지 일으킬 수 있다. 영국 런던 메트로폴리탄대 연구팀은 영국 여성 5000명을 대상으로 유통기한이 지난 화장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조사 결과, 4명 중 1명꼴로 마스카라를 1년 이상 사용했고, 10명 중 1명꼴로 립스틱을 3년 이상 사용했다. 연구팀은 이들의 오래된 화장품을 살폈고 뇌수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페카리스균 등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제품 포장지에 명시된 유통기한 확인해야
지난 14일 유튜브 채널 ‘이민정 MJ’에는 ‘근데 이민정 파우치 보고 경악을 금치 못함. MJ 똥손 탈출 메이크업’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에서 이민정은 이사배에게 화장을 배웠다. 화장을 시작하기 전 이민정의 화장품 파우치를 확인한 이사배는 유통기한이 지난 화장품을 여러 개 발견해 충격을 받았다.
이민정의 화장품 파우치에서는 수년 전 판매된 섀도우 팔레트가 발견됐다. 이민정이 “이거는 진짜 역사가 한 8년 됐다”고 하자, 이사배는 “이거 바르다가 트러블이 날 수 있다”며 “버려도 되냐”고 말했다. 이사배는 “이런 거는 1년 정도만 써야 한다”며 화장품 유통기한을 지킬 것을 강조했다. 이어 파우치에서 나온 립밤과 립스틱의 유통기한을 확인하며 “이것도 입술에 뭐 날 것 같아서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오래된 화장품, 피부염·뇌수막염 위험
유통기한이 지난 화장품을 버리지 않고 그대로 쓰면 피부 트러블, 접촉성 피부염 등이 생길 수 있다. 특히 립스틱, 립밤처럼 입술에 바르는 제품은 구매한 지 6개월 내로 다 쓰는 게 좋다. 물과 지방 성분으로 구성돼있어 세균이 잘 번식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입술에 바르는 제품은 공기와 피부에 자주 닿아 세균에 노출되기 쉽다. 립 메이크업 제품에서 ▲찌든 내 또는 쉰내가 나거나 ▲액체가 위에 뜨는 등 층 분리 현상이 나타나거나 ▲향·색깔이 변했거나 ▲내용물이 굳었다면 바로 버리는 게 좋다. 그냥 발랐다간 세균에 감염돼 입술에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아이라이너와 마스카라, 아이섀도우도 마찬가지다. 눈 점막에 직접 닿는 화장품인 만큼 청결하게 관리하고, 6개월 이내에 쓰는 게 좋다.
오래된 화장품은 피부뿐만 아니라 뇌수막염까지 일으킬 수 있다. 영국 런던 메트로폴리탄대 연구팀은 영국 여성 5000명을 대상으로 유통기한이 지난 화장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조사 결과, 4명 중 1명꼴로 마스카라를 1년 이상 사용했고, 10명 중 1명꼴로 립스틱을 3년 이상 사용했다. 연구팀은 이들의 오래된 화장품을 살폈고 뇌수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페카리스균 등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제품 포장지에 명시된 유통기한 확인해야
건강을 위해서는 어떤 화장품이든 구매할 때 유통기한을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다. 화장품별 유통기한은 보통 제품 라벨에 나와 있다. 화장품 회사에서는 화장품마다 용기나 제품의 특성을 고려해 실험을 거친 후 유통기한을 정한다. 이후 화장품의 뒷면이나 포장 용기에 표시한다. 튜브 용기인 경우 양각으로 새기기도 한다. 보통 ‘사용기한 XX년 X월’이라고 프린트돼 있다. ‘사용기한: 별도 인쇄’라고 명시됐다면 따로 프린트된 부분을 확인한다. 그림으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화장품 뚜껑이 열려 있는 그림에 ‘6M’라고 적혀 있다면 개봉 후 6개월 이내로 사용하라는 뜻이다. 유통기한 문구가 지워지거나 날짜를 잊어버릴 경우를 대비해 화장품에 구매·개봉 일자를 적은 스티커를 붙여두는 것도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