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국내 당뇨병 환자가 10년 사이 1.5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에서 당뇨병 발생 비율이 높아지는 등 건강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어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당뇨 환자 수는 2015년 252만5454명에서 2024년 397만1113명으로 57.2% 증가했다.

올해 6월 기준 이미 355만 명을 넘어섰으며, 가파른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성별로는 남성이 223만명(56.2%)으로 여성보다 많았고, 연령대별로는 60대가 123만명(31%)으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20세 미만 소아·청소년 환자도 5만3000명(1.3%)에 달해 조기 발병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나이에 당뇨병을 앓기 시작하면 평생 관리가 필요하고 합병증 위험도 커지기에 장기적 사회·의료 부담이 우려된다.

유형별로는 2형 당뇨가 360만9041명(98.6%)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1형 당뇨는 5만2712명(1.4%)이었다. 1형 당뇨는 주로 소아·청소년기에 자가면역 반응으로 췌장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는 질환이다. 반면 2형 당뇨는 성인 비만, 운동 부족, 불규칙한 식습관 등 생활습관과 관련이 깊다.


박희승 의원실은 소득 수준에 따른 건강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소득 1분위(저소득층)의 1형 당뇨 환자 비율은 2015년 7.4%에서 2024년 8.0%로 증가했지만, 10분위(고소득층)는 같은 기간 19.6%에서 17.9%로 줄었다. 2형 당뇨 역시 저소득층 비율이 7.1%에서 9.4%로 늘었고, 고소득층은 21%에서 18.9%로 감소했다. 질병관리청 연구 결과에서도 저소득층의 당뇨병 발병 위험은 고소득층보다 3배 이상 높았다.

박희승 의원은 “당뇨병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고 삶의 질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질환”이라며 “소득 격차가 건강 격차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당뇨병 급증의 원인으로 서구화된 식습관, 비만 증가,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을 꼽는다. 의료계 전문가들은 하루 세 끼를 규칙적으로 먹고, 가공식품 대신 신선한 채소·단백질 위주의 식단을 유지하며, 1주일에 세 번 이상 30분 이상 유산소운동을 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예방법이라고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