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암 진단 후에도 계속 담배를 피우면 심근경색 위험이 최대 64%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조인영 교수, 숭실대 한경도 교수 공동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2010~2016년 암 진단 전후로 건강검진을 받은 환자 26만9917명을 2019년까지 추적 관찰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을 흡연 습관 변화에 따라 ▲지속 비흡연군 ▲지속 흡연군 ▲금연군(암 진단 후 금연) ▲재흡연/흡연시작군(금연했다가 암 진단 후 흡연, 또는 암 진단 후 흡연 시작)으로 나눈 뒤, 지속 비흡연군을 기준으로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지속 흡연군은 지속 비흡연군 대비 심근경색 위험이 64%까지 높았다. 허혈성 뇌졸중(61%)과 심부전(55%) 위험 가능성도 뚜렷하게 컸다. 재흡연/흡연시작군은 심근경색 발생 가능성이 53% 더 높았고, 허혈성 뇌졸중(29%)과 심부전(28%) 역시 증가했다. 금연군은 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22%)과 심부전(26%) 위험이 여전히 남아있었지만, 흡연을 이어간 환자에 비해선 현저히 낮아 금연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심방세동은 암 진단을 계기로 금연한다면 비흡연군과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위험이 감소하는 확실한 개선을 보였다. 암 환자의 금연은 단순한 생활 습관 개선이 아니라 치료 성과와 생존율을 좌우하는 핵심 관리 요소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 저자 신동욱 교수는 "흡연은 혈관 손상과 염증, 혈전 형성을 촉진해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고 암 치료로 심장에 부담이 가중되는 환자에게는 이러한 위험이 더 치명적이기에 금연이 필수다"며 "혼자 금연에 성공하기 어렵다면 의료진 상담과 금연 치료제의 도움을 받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암 지원 치료(Supportive Care in Cancer)’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