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속노화’ 열풍을 불러온 전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정희원 교수가 평소 빵 섭취를 절제한다고 밝혔다.
지난 23일 유튜브 채널 ‘정희원의 저속노화’에서 정희원 교수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버터와 크림 가득한 빵을 정제 탄수화물과 단순당 덩어리 대표 주자라 가능하면 멀리하라고 한다”며 “밥보다 빵을 더 좋아하는 분들, 밥을 먹고도 디저트 빵을 찾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자신도 빵을 좋아한다는 정희원 교수는 “빵을 사실 좋아하는데 혈당 스파이크 등과 같은 문제가 있어 피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죄책감 없이 먹을 수 있는 건강한 빵을 만든다는 한 빵집을 찾는 모습을 공개하기도 했다.
정희원 교수가 평소 절제한다는 빵은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이다. 혈당지수는 음식에 포함된 탄수화물이 혈당치를 올리는 정도를 의미한다.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을 먹으면 혈당 스파이크가 오기 쉽다. 혈당 스파이크는 일본의 한 의대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다. 혈당이 빠르게 오르면 높아진 혈당을 낮추기 위해 인슐린이 과다 분비되고, 다시 혈당이 떨어지면서 저혈당 상태가 돼 졸음을 유발한다. 정희원 교수 역시 “대학병원에서 수련받을 때 거기서 준 단팥빵과 우유를 먹은 뒤 혈당 스파이크를 즐기면서 취침용으로 먹은 적이 있다”고 말했다.
혈당 스파이크가 자주 발생하면 피로감이 커질 뿐 아니라 당뇨병 발병 위험도 커진다.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의 베타 세포가 지쳐 인슐린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기 때문이다. 과도한 당분은 체내 지방축적을 도와 비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빵을 도저히 끊기 힘들다면, 통곡물빵이 대안이 될 수 있다. 통곡물은 정제된 곡물에 비해 섬유질 함량이 높다. 통곡물 속 섬유질은 장운동을 돕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한다. 실제로 미국 터프츠대 연구팀에 따르면, 통곡물을 하루 3회 이상 섭취한 사람은 정제된 곡물로 만든 식품을 먹은 사람보다 내장지방이 평균 10%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3일 유튜브 채널 ‘정희원의 저속노화’에서 정희원 교수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버터와 크림 가득한 빵을 정제 탄수화물과 단순당 덩어리 대표 주자라 가능하면 멀리하라고 한다”며 “밥보다 빵을 더 좋아하는 분들, 밥을 먹고도 디저트 빵을 찾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자신도 빵을 좋아한다는 정희원 교수는 “빵을 사실 좋아하는데 혈당 스파이크 등과 같은 문제가 있어 피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죄책감 없이 먹을 수 있는 건강한 빵을 만든다는 한 빵집을 찾는 모습을 공개하기도 했다.
정희원 교수가 평소 절제한다는 빵은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이다. 혈당지수는 음식에 포함된 탄수화물이 혈당치를 올리는 정도를 의미한다.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을 먹으면 혈당 스파이크가 오기 쉽다. 혈당 스파이크는 일본의 한 의대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다. 혈당이 빠르게 오르면 높아진 혈당을 낮추기 위해 인슐린이 과다 분비되고, 다시 혈당이 떨어지면서 저혈당 상태가 돼 졸음을 유발한다. 정희원 교수 역시 “대학병원에서 수련받을 때 거기서 준 단팥빵과 우유를 먹은 뒤 혈당 스파이크를 즐기면서 취침용으로 먹은 적이 있다”고 말했다.
혈당 스파이크가 자주 발생하면 피로감이 커질 뿐 아니라 당뇨병 발병 위험도 커진다.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의 베타 세포가 지쳐 인슐린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기 때문이다. 과도한 당분은 체내 지방축적을 도와 비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빵을 도저히 끊기 힘들다면, 통곡물빵이 대안이 될 수 있다. 통곡물은 정제된 곡물에 비해 섬유질 함량이 높다. 통곡물 속 섬유질은 장운동을 돕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한다. 실제로 미국 터프츠대 연구팀에 따르면, 통곡물을 하루 3회 이상 섭취한 사람은 정제된 곡물로 만든 식품을 먹은 사람보다 내장지방이 평균 10%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