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지나친 저염식, 저단백, 저지방식이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신장이 나빠진 사람들은 신장에 부담을 주지 않으려 저염식, 저단백식을 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이경호 교수 연구은 '허혈성 급성 신손상' 후 회복기 식이 조절과 회복 연관성을 동물 및 세포 모델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양쪽 또는 한쪽 신장이 손상된 생쥐모델을 이용해 고염식과 저염식, 고단백식과 저단백식, 고지방식과 저지방식 등 다양한 조합의 식이요법이 회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비교했다.

그 결과,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저염·저단백·저지방 식단이 신장 회복에 도움을 주는 건 아니었다. 연구에 따르면 양쪽 신장 모두 손상이 있었던 생쥐에게 저염·저단백·저지방 식단을 공급했을 때 TGF-β(티지에프 베타)와 같은 신호물질이 과활성화되어 손상된 신장의 섬유화를 부추겼고, 염증을 유발하기 쉬운 상태로 바뀌었다. 그만큼 신장 회복이 더뎌질 수에 없는 환경이 만들어졌다는 의미다.

고염·고단백·고지방 식이도 답은 아니었다. 세포실험(HK2)에서 고염·고단백에 노출될 경우 신장 세포의 증식 억제가 확인됐다. 특히 고염식을 섭취한 군은 신세관 손상이 심각했고, 섬유화가 급격히 진행됐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저염, 저단백과 마찬가지로 고염·고단백 식이 역시 신장 회복을 방해하는 요인이었던 셈이다.


연구 저자인 전준석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급성 신손상 환자의 회복기에서 식이 관리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며 “향후 맞춤형 식이 가이드라인 수립의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장혜련 교수도 “식이요법은 환자가 직접 조절 가능한 비약물 치료 전략”이라며 “막연한 방법보다 회복기의 신장 기능 상태에 맞게 세밀하게 설계된 맞춤형 영양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세포 및 발달 생물학 분야(Frontiers in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