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항산화물질인 에르고티오네인의 혈중 수치가 높을수록 치매 위험이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규슈대 토모유키 오하라 박사팀은 65세 이상 1344명의 11년간 자료를 분석했다. 혈청 에르고티오네인 수치를 측정해 치매 위험을 살폈다. 추적 관찰 기간 동안 273명에게 치매가 발생했고, 그중 201명은 알츠하이머였다.

분석 결과, 조사 대상자의 혈중 에르코티오네인 농도가 짙은 사람일수록 치매 위험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관성은 연령, 성별,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운동 여부 등에 관계없이 일관적으로 유지됐다.

채소 섭취가 혈청 에르고티오네인 수치와 치매 위험 간의 연관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가정, 혈청 에르고티오네인 수치와 채소 섭취가 치매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로 조사했다. 그러자, 채소 섭취량이 적고 혈청 에르고티오네인 수치가 낮은 참가자와 비교했을 때, 일일 채소 섭취량과 관계없이 혈청 에르고티오네인 수치가 높은 이들의 치매 위험이 유의하게 감소했다.


연구팀은 "일반적인 고령 인구에서 혈청 에르고티오네인 수치가 높을수록 모든 원인에 의한 치매 발병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에르고티오네인은 인체에서 합성되지 않는 물질로, 이것이 풍부한 식단을 챙겨 먹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에르고티오네인은 양송이버섯 등 버섯에 풍부하게 함유돼 있는 천연 아미노산이다. 오트밀, 통곡물 등에도 소량 존재한다.

이 연구 결과는 일본 정신신경과학회 학술지(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