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사 "검증 안 돼" 반박

이미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임신부의 타이레놀 사용 자제를 권고했다./사진=연합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과 태아의 자폐증 유발 간에 연관성이 있다고 공식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곧 이러한 내용을 의사들에게 통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대표적인 ‘백신 불신론자’인 보건복지부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장관의 주도로 이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임신부가 타이레놀이라고 잘 알려져 있는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며 "견딜 수 없을 정도로 극심한 고열인 소수의 경우는 어쩔 수 없이 복용해야겠지만 아주 적게만 복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솔직히 임신 기간 내내 복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임신부의 통증이나 발열을 가라앉히고자 처방해 온 약물이다. 이부프로펜·나프록센 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는 태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유로 권장되지 않는 반면, 아세트아미노펜은 그동안 임신부도 의사와 상담 후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한 진통제로 간주돼 왔다.



이미지
타이레놀/사진=켄뷰
타이레놀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해열진통제 성분인 만큼, 이번 발표로 의료계에 적지 않은 파장이 생길 것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비교적 안전하다고 여겨진 임신부의 타이레놀 복용이 자폐증 유발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경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000년 대비 자폐증 유병률이 약 400% 증가했다는 보건당국의 통계를 근거로 "타이레놀을 복용하지 말고, 아기에게도 주지 말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에 따르면, 2000년 기준 8세까지 자폐증을 앓는 아동의 비율이 150명 중 한 명이었으나, 2022년에는 31명 중 한 명까지 급증했다. 자폐 급증에 영향을 미친 인위적인 요인이 임신부의 타이레놀 복용이라고 본 것이다.

대신 자폐증 증상 완화를 위해 엽산 결핍 치료제인 ‘류코보린’의 사용을 제안했다. FDA는 발표에 앞서 류코보린 제제의 승인을 시작했다고 발표했으며, GSK의 류코보린 제제인 '웰코보린'의 라벨 업데이트 승인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학계·업계에서는 이번 발표에 대해 인과관계가 충분하지 않다는 비판도 나온다. 실제로 FDA를 비롯한 각국의 보건당국은 아직 뚜렷한 연관성을 찾지 못했으며, 미국 산부인과학회도 타이레놀이 임신부에게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타이레놀을 생산 중인 켄뷰 또한 이번 발표에 대해 "과학적 근거가 없고 연관성 제시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켄뷰는 2023년 글로벌 제약사 존슨앤드존슨에서 분사한 기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