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 도심에 독버섯이 급속히 번지며 주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지난 15일 JIBS 보도에 따르면, 제주 노형근린공원 잔디밭에서 흰갈대버섯 수십 개체가 원형 군락을 이루며 자라는 모습이 관찰됐다. 길이 10cm 안팎의 흰색 버섯은 아직 갓이 완전히 펴지지 않은 상태였으며, 인근에는 이제 막 지표 위로 올라온 무리도 보였다.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흰갈대버섯은 대표적인 독버섯이다. 흰갈대버섯을 섭취하면 위장관 자극 중독을 유발해 설사, 구토, 복통, 쇠약, 현기증, 오한 등 소화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중독 증상은 버섯을 섭취한 후 30~90분이 지나면서 시작하며 3~4시간이 지나면 점차 감소하다가 수일 후면 회복된다. 주로 수풀이 우거진 곳에서 자라는데 민가 근처에서 발견된 것은 이례적인 경우로 꼽힌다. 특히 흰갈대버섯은 식용인 큰갓버섯과 유사해 혼동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전문가들은 최근 많은 비로 독버섯들이 민가 주변까지 번진 것이라며, 주민들의 왕래가 잦은 만큼 안내판 설치 등 안전조치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지난 15일 JIBS 보도에 따르면, 제주 노형근린공원 잔디밭에서 흰갈대버섯 수십 개체가 원형 군락을 이루며 자라는 모습이 관찰됐다. 길이 10cm 안팎의 흰색 버섯은 아직 갓이 완전히 펴지지 않은 상태였으며, 인근에는 이제 막 지표 위로 올라온 무리도 보였다.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흰갈대버섯은 대표적인 독버섯이다. 흰갈대버섯을 섭취하면 위장관 자극 중독을 유발해 설사, 구토, 복통, 쇠약, 현기증, 오한 등 소화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중독 증상은 버섯을 섭취한 후 30~90분이 지나면서 시작하며 3~4시간이 지나면 점차 감소하다가 수일 후면 회복된다. 주로 수풀이 우거진 곳에서 자라는데 민가 근처에서 발견된 것은 이례적인 경우로 꼽힌다. 특히 흰갈대버섯은 식용인 큰갓버섯과 유사해 혼동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전문가들은 최근 많은 비로 독버섯들이 민가 주변까지 번진 것이라며, 주민들의 왕래가 잦은 만큼 안내판 설치 등 안전조치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