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이 만성질환으로 인한 조기 사망 위험이 가장 낮은 국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과 세계보건기구(WHO)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 네트워크 ‘만성질환 카운트다운 2030 공동연구협력단’은 2010~2019년 전 세계 185개국을 대상으로 만성질환 사망률을 비교했다. 만성질환에는 심혈관질환, 암, 만성 호흡기질환, 당뇨병 등이 포함되며, 현재 전 세계 사망 원인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분석에 따르면, 한국 여성의 80세 이전 만성질환 사망 확률은 15.4%로 세계 최저 수준이었다. 뒤이어 일본(15.7%), 싱가포르(18.5%), 스위스(19%)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남성은 28.8%로 집계돼 싱가포르(27%)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반면 아프리카 지역은 심각한 양상을 보였다. 아프가니스탄 여성의 80세 이전 만성질환 사망 확률은 71.4%였으며, 레소토(69.7%), 파푸아뉴기니(67%), 짐바브웨(66%), 중앙아프리카공화국(65%) 순으로 뒤를 이었다. 남성도 격차가 컸다. 아프리카 남부의 소국 에스와티니는 남성 조기 사망 확률이 79.9%로 선진국과 큰 차이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이번 성과가 한국의 건강검진 제도 정착, 높은 백신 접종률, 고혈압·당뇨병·암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적극적 지원 덕분이라고 평가한다.
실제로 한국은 예방부터 치료까지 이어지는 관리 체계를 통해 만성질환으로 인한 조기 사망률을 크게 줄였다. B형 간염 백신은 1983년 국내에 처음 도입된 뒤 1995년부터 영유아 국가예방접종 사업에 포함됐다. 자궁경부암(HPV) 백신 역시 2016년부터 만 12세 여성 청소년에게 무료 접종이 제공됐다. 고혈압 관리 지표도 개선됐다. 2005년과 비교했을 때 2012년 사이 인지율은 57.1%에서 66.2%로, 약물치료율은 49.5%에서 60.7%로, 조절률은 27.2%에서 42.5%로 크게 향상됐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랜싯(The Lancet)'에 지난 10일 게재됐다.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과 세계보건기구(WHO)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 네트워크 ‘만성질환 카운트다운 2030 공동연구협력단’은 2010~2019년 전 세계 185개국을 대상으로 만성질환 사망률을 비교했다. 만성질환에는 심혈관질환, 암, 만성 호흡기질환, 당뇨병 등이 포함되며, 현재 전 세계 사망 원인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분석에 따르면, 한국 여성의 80세 이전 만성질환 사망 확률은 15.4%로 세계 최저 수준이었다. 뒤이어 일본(15.7%), 싱가포르(18.5%), 스위스(19%)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남성은 28.8%로 집계돼 싱가포르(27%)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반면 아프리카 지역은 심각한 양상을 보였다. 아프가니스탄 여성의 80세 이전 만성질환 사망 확률은 71.4%였으며, 레소토(69.7%), 파푸아뉴기니(67%), 짐바브웨(66%), 중앙아프리카공화국(65%) 순으로 뒤를 이었다. 남성도 격차가 컸다. 아프리카 남부의 소국 에스와티니는 남성 조기 사망 확률이 79.9%로 선진국과 큰 차이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이번 성과가 한국의 건강검진 제도 정착, 높은 백신 접종률, 고혈압·당뇨병·암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적극적 지원 덕분이라고 평가한다.
실제로 한국은 예방부터 치료까지 이어지는 관리 체계를 통해 만성질환으로 인한 조기 사망률을 크게 줄였다. B형 간염 백신은 1983년 국내에 처음 도입된 뒤 1995년부터 영유아 국가예방접종 사업에 포함됐다. 자궁경부암(HPV) 백신 역시 2016년부터 만 12세 여성 청소년에게 무료 접종이 제공됐다. 고혈압 관리 지표도 개선됐다. 2005년과 비교했을 때 2012년 사이 인지율은 57.1%에서 66.2%로, 약물치료율은 49.5%에서 60.7%로, 조절률은 27.2%에서 42.5%로 크게 향상됐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랜싯(The Lancet)'에 지난 10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