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집중력 향상 효과로 ADHD 치료제에 대한 학부모와 학생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3년간 부작용 보고도 수백 건에 달해 안전관리 공백이 크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이 1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만19세 이하 환자에게 처방된 ADHD 치료제는 총 335만9226건에 달했다. 지난해에만 136만7730건 처방된 것으로 확인됐는데 1년 전보다 21.9%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보고된 부작용은 총 278건이었다. 이 가운데 연령 정보가 확인된 83건 중19세 미만 환자의 사례는 56.6%(47건)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주요 증상은 ▲식욕감소(49건) ▲불면(30건) ▲구역 및 구토(21건) ▲두근거림(12건) ▲자극과민성(7) ▲틱(7건) ▲두통(5건) ▲어지러움(5건)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처방 환자의 특성을 보면 남성이 78.6%, 여성이 26.8%로 보다 훨씬 많았고, 지역별로는 서울(25.4%)과 경기(25.2%) 등으로 수도권에 집중됐다.


ADHD 치료제는 원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환자의 증상 악화를 위해 사용되지만, 집중력 향상과 학업 성취 효과가 알려지면서 일반 청소년과 성인들 사이에서도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 오남용 우려가 커지고 있다.

ADHD 치료제와 함께 ‘키 크는 주사’로 불리는 성장호르몬제의 부작용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3년~2025년 6월) 총 4312건의 부작용이 보고됐다. 주요 증상은 주사 부위 통증, 출혈, 타박상, 종창, 발열 등이다. 이 가운데 연령 정보가 확인된 1281건 중 19세 미만 환자가 1266건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

서미화 의원은 “ADHD 치료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처방이 늘어나는 만큼 필요한 환자들이 안정적으로 치료받을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며, “특히 마약류 약물의 오남용을 줄이고 국민이 안전하게 처방받을 수 있도록 약물 관리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