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경기도 평택의 한 어린이집에서 제공한 급식에 다수의 벌레 유충이 떠 있는 모습이 포착돼 논란이 일고 있다.​/사진=온라인 커뮤니티
경기도 평택의 한 어린이집에서 제공한 급식에 다수의 벌레 유충이 떠 있는 모습이 포착돼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10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평택 송탄 어린이집 키즈노트에 올라온 구더기 사진”이라는 글과 함께 식판 사진이 한 장 게재됐다. 키즈노트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교사가 아이의 사진, 활동 내용 등을 학부모에게 알려주는 앱이다. 사진 속 누룽지에는 유충이 여러 마리 떠 있었다. 게시자는 “보여주는 키즈노트에도 이 모양인데 애들은 안 먹었을까”라며 “다들 조심해라, 애들 먹는 걸로 장난을 친다”고 말했다.

해당 게시글은 온라인상에서 빠르게 확산했고 학부모들은 “유충이 저렇게 보이게 들어갈 정도로 관리가 안 된다는 게 말이 안 된다” “곧 우리 아이도 어린이집 보내야 하는데 무섭다” “보여주기용 사진조차 이렇다면 실제 급식의 위생 상태는 더 심각할 수 있다” 등의 반응을 남겼다.


일각에서는 “고의로 벌레가 두드러지게 찍은 것 아니냐” “내부 고발을 위해 학부모 반응을 유도한 것 같다”는 해석도 내놓았다. 전국 어린이집은 매년 두 차례 정기 위생점검을 받고 있지만 점검 일정이 사전에 통보돼 형식적인 절차라는 지적이 계속 제기됐다. 어린이집 내부 신고에 의존하기에는 교사들도 불이익을 당할 수 있어 키즈노트를 활용한 것이라는 추측이다.

논란이 커지자 평택시는 어린이집 상대로 조사를 벌였고, 식품의약품안전처도 쌀 보관 상태와 재료 유통기한 등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해당 어린이집은 평택시 행정처분을 기다리고 있다.

한편, 논란이 된 사진 속 벌레 유충이나 애벌레는 섭취해도 대부분 위에서 소화돼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런데, 날 것이나 제대로 익히지 않은 음식에 있는 유충을 먹을 경우 여러 이상 증상을 겪을 수 있다. 서울부민병원 응급의학과 박억숭 과장은 “흙이나 오염된 채소, 과일을 통해 몸 안으로 들어온다”며 “복통, 소화불량, 장폐색 등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유충 때문에 이런 증상을 겪는다면 구충제를 복용해 몸 속 유충을 제거한다. 박 과장은 “대부분 안전하지만 생선, 고기 등에 있는 기생충은 문제될 수 있다”며 “깨끗한 음식을 먹고, 날 것은 피하고 충분히 익혀 먹으면 문제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