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이명이나 상대방의 말이 잘 들리지 않는 느낌을 일상 생활을 하다가 누구나 한 번쯤은 느낀다. 피곤해서 그런 것이라며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조용한 방 안에 있을 때, 냉장고 소리 등 작은 소음이 잘 들리지 않을 정도라면 반드시 이비인후과 전문의를 만나야 한다. 난청으로 이미 상당히 청력이 손실된 상태일 수 있다.

난청은 소리를 듣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증상이다. 귀를 통해 들어간 소리가 고막-달팽이관-청신경을 거쳐 뇌에 도달하는 과정에 문제가 생겨 발생한다. 의사소통과 사회 생활에 지장을 끼칠 뿐 아니라, 자동차 경적이나 화재 경보 등을 인지하기 어렵게 만들어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난청의 유형은 노인성 난청, 돌발성 난청, 소음성 난청 등 원인과 발생 양상에 따라 다양하다. 살다 보면 이중 하나는 겪을 가능성이 크다. 노인성 난청은 65세 인구 열 명 중 세 명이 겪을 만큼 흔하며, 관절염, 고혈압에 이어 3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노인성 질환으로 꼽힌다.

최근에는 이어폰·헤드폰 사용이 증가하며 국내 인구 100명 중 약 두 명(1.7%)은 소음성 난청을 경험한 것으로 알려졌다. 돌발성 난청은 대부분 원인 불명으로, 주로 과로했거나 감기를 앓은 후 갑자기 이명, 어지럼증, 이충만감(먹먹함)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 대수롭지 않게 지나치기 쉬우며, 소리를 들을 때 자주 사용하는 귀가 아닌 반대쪽 귀에 발생해 알아차리지 못할 때도 있다.


난청이 의심될 땐 병원 방문을 미루지 말아야 한다. 돌발성 난청이 발생한 후에 손상된 청력 세포가 회복 가능한 골든 타임은 3일에서 2주에 불과하다. 돌발성 난청이 발생했는데도 스테로이드로 치료하지 않고 두 달이 지나면 영구적으로 청력이 손실될 수 있다. 실제로 돌발성 난청 환자 세 명 중 한 명은 정상 청력을 되찾지만, 다른 1명은 부분적으로만 회복하며, 나머지 한 명은 청력을 완전히 잃는다. 처음 발생한 난청이 심할수록, 어음 명료도(말소리 이해도)가 낮을수록, 어지럼증이 동반될 경우일수록 회복 가능성이 낮다. 노인성 난청과 소음성 난청도 마찬가지다. 조용한 방에서 나는 냉장고 소리(40dB) 정도의 작은 소리가 잘 들리지 않을 때에는 의사와 상담한 다음 보청기를 사용해야 할 수 있다. 들리지 않는 채로 내버려두면 청각 피질이 퇴화해 인지 기능이 감소할 수 있다.

한 번 손상된 청력은 쉽게 돌아오지 않으므로 예방이 최선이다. 85dB(버스·지하철 안 소음)보다 큰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청력이 손상될 수 있다. 헤드셋이나 이어폰을 사용한다면 소리를 최대 크기의 절반 이하로 낮추고, 한번에 60분 이내로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대중교통 등 시끄러운 장소에서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 자신도 모르게 소리 크기를 높이게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약물 사용도 주의해야 한다. 항암제, 항생제, 이뇨제 등 특정 약물이 난청을 악화하거나 유발할 수 있다. 이미 이명 등 난청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은 이런 약물을 복용하기 전에 의료진에게 말하고 상담받는 게 좋다.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박무균 교수는 “난청은 치매의 주요 위험 요인인 만큼 경미한 청력 저하라도 일찍부터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평소 소음을 멀리하는 습관으로 소음성 난청을 예방하고, 이미 청력이 손실됐다면 보청기를 적극 사용하길 권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