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사진 = 연합뉴스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과 중국 제약사 간 거래 단속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10일(현지 시간)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에서 개발한 의약품 관련 거래를 제한하는 행정명령 초안을 작성해 대형 제약사·투자자 등에게 회람시켰다.

해당 행정명령 초안에는 “중국을 포함한 적대적 행위자들이 미국의 과학과 규제 시스템의 빈틈을 이용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으로 미국 제약사가 중국 바이오텍으로부터 기술·신약을 도입할 때 미국 국가안보 심사를 받도록 절차를 강화한다는 내용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중국 임상시험 데이터를 심사할 때 기준을 엄격히 하고 관련 제출 수수료를 인상한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행정명령에는 중국 의약품 제한뿐 아니라 미국 내 제약산업 강화에 대한 내용도 들어있다. 항생제·진통제(아세트아미노펜)와 같은 기본 의약품의 미국 생산량을 늘리고, 정부가 미국에서 생산된 제품을 우선적으로 구매하는 등의 조치가 담겼다. 자국우선주의는 트럼프 행정부가 계속해서 강조해온 정책 방향으로, 지난 2월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우선 투자 정책’이라는 제목의 문서를 발표하며 ‘외국 적대적 행위자’, 즉 해외 투자를 제한해 국가와 경제적 안보를 강화하겠다고 전하기도 했다.

최근 중국 제약사들이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 제약업계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는 가운데, 이 같은 미국 정부의 정책 기조가 중국 제약사에 대한 투자 위축으로 이어질지 관심이 모인다. 미국 의학전문지 바이오스페이스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글로벌 제약사와 중국 바이오기업 간 파트너십 계약은 총 61건, 거래 규모는 총 485억달러(한화 약 67조4393억원)에 달했다. 다만, 백악관은 이번 행정명령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해당 행정명령에 중국 외에 다른 국가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분야 또한 제약산업으로 한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