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지역필수의사제’ 시범사업이 시행된 지 두 달이 넘었지만, 전체 채용률이 40%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4개 시·도에서 지난 8일 기준 채용을 완료한 지역필수의사는 모두 36명이다. 전체 모집인원(96명)의 37.5% 수준이다. 지원자 수는 총 65명으로 전부 채용이 완려돼도 정원의 3분의 2정도만 채워질 것으로 보인다.
지역필수의사제 지원사업은 의사가 종합병원급 이상 지역 의료기관에서 장기간 근무할 수 있게 지역 근무 수당과 정주 여건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공모를 거쳐 선정된 강원, 경남, 전남, 제주 4개 지방자치단체(17개 의료기관)에서 지난 7월 시행됐다.
모집인원은 시도별 24명씩 총 96명이다.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 8개 필수의료 과목에서 전문의 자격 취득 5년 이내의 의사들이 5년 장기근무계약을 하면 정부가 월 400만원의 지역근무 수당을 주는 방식이다. 여기에 지자체가 주거비 등 다양한 복지 혜택을 제공한다.
이러한 혜택에도 17개 병원 중 4곳을 제외하곤 모두 지원자가 모집인원을 채우지 못했다. 경남의 경우 20명이 지원하고 모두 채용돼 네 자리만 남았으나 강원 4개 병원엔 24명 모집에 14명만이 지원해 현재까지 5명만 채용이 확정됐다.
전남은 16명이 지원해 현재까지 11명의 채용 계약이 완료됐으며, 제주는 14명이 지원했고 아직 채용은 이뤄지지 않았다. 전남의 목포시의료원(4명 모집), 순천의료원(3명 모집), 제주 한국병원(3명 모집), 한마음병원(1명)은 아예 지원자가 없었고, 6명을 뽑는 강릉아산병원은 지원자가 1명에 그쳤다.
공보의 감소 등으로 지역의료 공백이 더 커지는 상황에서 의료 격차 해소를 위한 보다 근본적인 해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부는 지역의사전형으로 선발한 의대생을 지역서 10년 이상 의무복무하게 하는 ‘지역의사제’ 도입 계획을 밝혔지만, 의사 배출에만 최소 10년이 소요되기 때문에 지역필수의료제도 일단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전진숙 의원은 “지역간 의료 격차가 심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지역필수의사제는 미봉책에 불과하다”며 “지역·필수의료분야 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시급히 지역의사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1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4개 시·도에서 지난 8일 기준 채용을 완료한 지역필수의사는 모두 36명이다. 전체 모집인원(96명)의 37.5% 수준이다. 지원자 수는 총 65명으로 전부 채용이 완려돼도 정원의 3분의 2정도만 채워질 것으로 보인다.
지역필수의사제 지원사업은 의사가 종합병원급 이상 지역 의료기관에서 장기간 근무할 수 있게 지역 근무 수당과 정주 여건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공모를 거쳐 선정된 강원, 경남, 전남, 제주 4개 지방자치단체(17개 의료기관)에서 지난 7월 시행됐다.
모집인원은 시도별 24명씩 총 96명이다.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 8개 필수의료 과목에서 전문의 자격 취득 5년 이내의 의사들이 5년 장기근무계약을 하면 정부가 월 400만원의 지역근무 수당을 주는 방식이다. 여기에 지자체가 주거비 등 다양한 복지 혜택을 제공한다.
이러한 혜택에도 17개 병원 중 4곳을 제외하곤 모두 지원자가 모집인원을 채우지 못했다. 경남의 경우 20명이 지원하고 모두 채용돼 네 자리만 남았으나 강원 4개 병원엔 24명 모집에 14명만이 지원해 현재까지 5명만 채용이 확정됐다.
전남은 16명이 지원해 현재까지 11명의 채용 계약이 완료됐으며, 제주는 14명이 지원했고 아직 채용은 이뤄지지 않았다. 전남의 목포시의료원(4명 모집), 순천의료원(3명 모집), 제주 한국병원(3명 모집), 한마음병원(1명)은 아예 지원자가 없었고, 6명을 뽑는 강릉아산병원은 지원자가 1명에 그쳤다.
공보의 감소 등으로 지역의료 공백이 더 커지는 상황에서 의료 격차 해소를 위한 보다 근본적인 해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부는 지역의사전형으로 선발한 의대생을 지역서 10년 이상 의무복무하게 하는 ‘지역의사제’ 도입 계획을 밝혔지만, 의사 배출에만 최소 10년이 소요되기 때문에 지역필수의료제도 일단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전진숙 의원은 “지역간 의료 격차가 심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지역필수의사제는 미봉책에 불과하다”며 “지역·필수의료분야 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시급히 지역의사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