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하늘안과의원 유형곤 센터장
최근 고령 인구의 증가와 함께 황반변성 환자 수도 꾸준히 늘고 있다. 특히 자외선 노출, 흡연, 불균형한 식습관 등 생활 환경적 요인이 발병 위험을 높인다고 알려졌다.

황반변성은 눈의 중심 시야를 담당하는 황반에 변성이 일어나면서 시력이 떨어지는 질환이다. 작은 변화라도 간과하면 돌이킬 수 없는 시력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는 이유다.

황반변성은 크게 건성과 습성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눠볼 수 있다. 건성 황반변성은 황반 부위에 드루젠이라는 노폐물이 쌓이며 발생한다. 전체 황반변성 환자 중 90%가 해당되는 유형으로 진행 속도가 느려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지만, 점차 시야 흐림이나 변형이 나타날 수 있다. 습성 황반변성은 망막 밑에서 비정상적인 신생혈관이 자라나 생기며, 혈액이나 삼출물이 새어 나오면서 황반을 빠르게 손상시킨다. 짧은 기간 내 중심 시력이 급격히 악화되는 경우가 많아 실명 위험이 크다.

주요 증상은 글씨나 직선이 휘어져 보이는 변시증, 시야 중심에 안 보이는 부분이 생기는 중심 암점 등이다. 색이나 명암 등의 대비감이 떨어져 보이는 경우도 있다. 한쪽 눈이 나빠져도 다른 쪽 눈이 전체적인 시기능을 보완해주기 때문에 환자가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중요하다.


황반변성의 치료는 유형과 진행 정도에 따라 다르다. 건성 황반변성은 영양제 보충과 생활습관 관리가 진행 억제에 도움이 된다. 루테인, 지아잔틴 같은 항산화 성분이나 아연, 비타민 보충이 연구에서 효과를 보였으며, 금연, 자외선 차단, 균형 잡힌 식단과 운동이 함께 권장된다.

습성 황반변성에는 항체주사치료가 대표적이다. 눈 속에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억제제를 주입해 신생혈관 생성을 억제하고 누출을 줄이는 방식으로, 질환의 진행을 늦추는 역할을 한다. 광역학 치료는 광감각 물질을 주사한 뒤 특수 레이저를 조사해 신생혈관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으로, 정상 조직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황반변성은 조기 발견과 꾸준한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한 질환으로, 조기에 진단하고 관리하면 시력 저하 속도를 늦추고 장기적으로 시력을 보존할 수 있다. 특히 50세 이상이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정기적인 검진이 필수적이다. 전문 의료진의 세심한 진료와 환자 개개인에 맞춘 맞춤 치료를 통해 시력을 지켜나가길 바란다.

(*이 칼럼은 하늘안과의원 유형곤 센터장의 기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