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국내에서 판매되는 생리대 29종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내에서 판매되는 생리대 29종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기농 생리대를 포함한 일부 제품에서는 세포 독성까지 확인돼 장기간 사용할 경우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천권 교수팀은 시중 생리대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산 20종, 유럽산 9종 등 총 29종을 분석했다. 이 가운데 20종은 ‘유기농’을 표방한 제품이었다. 연구팀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미세플라스틱, 세포독성 평가를 동시에 진행했다.

그 결과, 모든 제품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생리대 한 개당 최소 6개에서 최대 115개가 나왔다. 미세플라스틱은 크기 5㎜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으로, 일부 연구에서는 인체 혈액이나 뇌 등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 체내에 들어오면 염증이나 DNA 손상 위험이 있다는 연구도 보고됐다.

휘발성유기화합물 분석에서는 톨루엔만 검출됐다. 톨루엔은 페인트·접착제·세제 등에 쓰이는 휘발성 화학물질로, 인체에 흡수되면 두통·어지럼증을 일으킬 수 있다. 29종 중 28종에서 확인됐으며, 제품 1개당 0.04~2.79μg 수준이었다. 산업 안전 기준치보다는 낮았지만, 피부에 장시간 닿는 제품 특성상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해 세포 생존율이 크게 줄어드는 결과가 나타났다. 채널A 보도에 따르면 22종은 세포 생존율이 80% 미만으로 떨어졌고, 유기농 제품 20종 가운데 14종에서 세포독성이 확인됐다. 보통 대조군에 비해 세포 생존율이 80% 이하일 때 세포독성이 있다고 본다.

연구팀은 "시중에 판매되는 다양한 생리대를 직접 분석해 미세플라스틱과 세포 독성을 동시에 확인한 것은 의미가 있으며, 제조 과정과 소재 선택이 안전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생리대 성분의 투명한 공개와 장기적 안전성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이번 결과는 세포 실험에 기반한 것이어서 실제 인체 반응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며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축적 여부와 장기적 위해성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지난 8월 29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