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구취는 성인 인구의 절반 정도가 겪을 정도로 흔하다. 사회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스트레스를 안겨준다면,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입 냄새의 원인과 해결법을 알아본다.

구취를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은 '구강 내 세균'이다. 아침에 유독 입 냄새가 심한 이유도 세균 때문이다. 알프스치과 박경아 원장은 "자는 동안 침 분비가 줄어 구강 내에 세균이 많이 증식하는데 이 세균이 단백질을 분해하면서 생기는 휘발성 황화합물로 인해 불쾌한 냄새가 난다"고 말했다.

입 호흡하는 이들도 구취를 잘 겪는다. 구강이 건조해지면 세균이 더욱 빠르게 증식하기 때문에 칫솔과 치실을 이용해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와 설태를 제거하고 입 안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치석, 설태, 치주질환, 충치, 공복, 흡연, 축농증, 위장질환 등이 입 냄새를 유발할 수 있다.

구취를 없애는 효과적인 생활습관은 다음과 같다.

혀 클리너 사용하기=구강 내 세균은 목구멍과 가까운 쪽인 혀의 뒷부분에 많이 분포하며, 혀 표면에 있는 설태에 포함된 단백질과 펩타이드를 분해하여 불쾌한 냄새를 만든다. 하루 한두 번 혀 클리너로 설태를 부드럽게 긁어 내고 입안을 물로 헹구는 것이 좋다.


코 호흡하기=입으로 숨을 쉬는 경우 코로 숨쉴 때 보다 구강이 쉽게 건조해지며 이는 입 냄새를 유발한다. 코로 호흡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특히 입 안이 건조해지지 않게 적절히 수분공급을 해주는 것이 중요하며, 이때 설탕이 들어있거나 산성이 강한 음료보다는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

녹차 마시기=마늘, 파, 양파 등은 황화합물이 많은 식품은 입 냄새를 증가시킨다. 단백질이 많은 육류도 마찬가지다. 채소나 과일 같이 침의 분비를 촉진하고 입 안을 청결하게 해주는 음식을 먹으면 좋다. 식후에는 녹차가 좋다. 플라보노이드라는 탈취 효과를 내는 성분이 입 냄새를 없애준다.

입 냄새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칫솔질이 가장 중요하다. 치아뿐 아니라 잇몸과 혀도 잘 닦아야 한다. 혀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3~4차례 반복해 닦되, 설유두에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적당한 압력으로 닦아야 한다. 혀의 안쪽 부분에 구취 유발 세균이 가장 많으므로 안쪽까지 닦는 것이 좋다.

공복일 때 입 냄새가 심해질 수 있다.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게 좋다. 박경아 원장은 "꾸준히 노력해도 입 냄새가 줄지 않는다면 치과를 방문해 다른 원인이 있는 건 아닌지 살펴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