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조량 줄어 찾아오는 계절성 정서장애

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선선한 가을바람과 함께 찾아오는 우울감, 무기력감, 식욕 증가 등은 많은 사람이 한 번쯤 경험하는 익숙한 현상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만큼 심해진다면 단순한 기분 변화가 아닌 의학적 진단이 필요한 계절성 정서장애일 수 있다. 이땐 치료가 필요하다.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준형 교수는 “계절성 정서장애는 계절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발생하는 신경생물학적 질환”이라며 “핵심 원인은 일조량 감소에 있다”고 했다.

가을·겨울철 낮이 짧아지면 멜라토닌 분비가 늘어 낮에도 졸음과 무기력감을 일으키고, 동시에 세로토닌 분비가 우울감과 불안감을 악화한다. 이 때문에 다른 우울증과는 달리 잠을 많이 자도 피곤하고, 단 음식을 계속 찾으며, 체중이 늘어나는 비정형적 증상이 두드러진다.

김 교수는 “증상이 2주 이상 이어지고, 2년 이상 동일한 계절에 반복되면 단순 기분 변화가 아닌 계절성 기분장애로 진단할 수 있다”고 했다. 특히 과다수면, 탄수화물 갈망, 집중력 저하와 같은 증상이 동반된다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모두가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김 교수는 “가벼운 경우에는 생활 습관 관리만으로도 충분히 극복 가능하다”며 “햇볕을 자주 쬐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며,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생활 리듬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된다”고 했다.

그러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지속된다면 반드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광 치료, 항우울제 약물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이 대표적인 치료법으로, 실제 임상에서 효과가 입증됐다.

김준형 교수는 “계절성 정서장애는 단순히 기분이 가라앉는 계절적 현상이 아니라 치료가 가능한 의학적 질환”이라며 “방치하지 말고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