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우리나라 우울증 환자가 110만명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10대 미만에서는 2배 이상 폭증했다.
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울증 환자는 110만6603명으로 2020년(83만2483명)보다 32.9% 늘었다. 같은 기간 진료 건수는 639만4820건에서 852만4815건으로 33.3% 증가했다.
우울증 환자는 연평균 7.4% 증가하며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83만 2483명 ▲2021년 91만 5910명 ▲2022년 100만 1046명 ▲2023년 104만 3732명 ▲2024년 110만 6603명이다.
성별로 보면 여성 환자는 74만3,590명(67.2%)으로 남성 36만 3013명(32.8%)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또한, 사회·경제적으로 활동이 많은 20·30·40 여성 환자가 전체의 33.2%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10대 미만 아동 환자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10대 미만은 2020년 991명에서 2024년 2162명으로 5년 새 118.2% 폭증했다. 같은 기간 ▲10대는 83.5% ▲30대는 69.7% ▲40대는 52.4% 증가율을 기록해 젊은 세대와 아동·청소년층에서의 증가세가 뚜렷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30만5293명(27%)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 25만3534명 ▲부산 7만9084명 ▲인천 6만4789명 순이었다. 이는 인구 규모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양상이다.
서미화 의원은 “정신건강 문제는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조기에 발견해 개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국가 차원의 정신건강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우울증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마음의 감기’ 같다”며 “무엇보다 우울증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울증 환자는 110만6603명으로 2020년(83만2483명)보다 32.9% 늘었다. 같은 기간 진료 건수는 639만4820건에서 852만4815건으로 33.3% 증가했다.
우울증 환자는 연평균 7.4% 증가하며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83만 2483명 ▲2021년 91만 5910명 ▲2022년 100만 1046명 ▲2023년 104만 3732명 ▲2024년 110만 6603명이다.
성별로 보면 여성 환자는 74만3,590명(67.2%)으로 남성 36만 3013명(32.8%)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또한, 사회·경제적으로 활동이 많은 20·30·40 여성 환자가 전체의 33.2%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10대 미만 아동 환자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10대 미만은 2020년 991명에서 2024년 2162명으로 5년 새 118.2% 폭증했다. 같은 기간 ▲10대는 83.5% ▲30대는 69.7% ▲40대는 52.4% 증가율을 기록해 젊은 세대와 아동·청소년층에서의 증가세가 뚜렷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30만5293명(27%)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 25만3534명 ▲부산 7만9084명 ▲인천 6만4789명 순이었다. 이는 인구 규모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양상이다.
서미화 의원은 “정신건강 문제는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조기에 발견해 개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국가 차원의 정신건강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우울증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마음의 감기’ 같다”며 “무엇보다 우울증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