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개그맨 김경진(42)과 모델 전수민(35) 부부가 쌍둥이 임신 소식을 전했다.
22일 김경진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아빠가 된다”며 “누구보다 행복한 마음으로 이 소식을 전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함께 축복해 주시고, 따뜻한 마음으로 지켜봐 주시면 감사하겠다”고 했다. 전수민도 같은 날 인스타그램에 “나의 소중한 아기천사들”이라며 “제 안에 아가 둘 심장이 뛰고 있다”고 전했다. 공개된 사진 속에는 김경진, 전수민 부부가 함께 쌍둥이 초음파 사진을 들고 활짝 웃는 모습이 담겼다.
앞서 이들 부부는 지난해 12월 KBS 2TV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에 출연해 난임 사실을 고백한 바 있다. 시험관 시술을 2차까지 시도했지만 실패했다고 밝히며, 그 이유로 김경진의 부고환염을 언급했다. 부고환염은 고환 뒤쪽의 부고환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당시 전수민은 “남편이 사업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아 부고환염이 왔다”며 “시험관 자체가 남편이 많이 참여해야 하는데, 나만 항상 영양제 먹고 운동하고 시술받고, 남편은 병원 가는 줄도 모른다”고 서운함을 토로했다.
김경진·전수민 부부처럼 난임으로 어려움을 겪는 부부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결혼·출산 시기가 늦어지는 사회적 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초혼 연령은 남성 34세, 여성 31.5세였고, 첫 출산 평균 연령은 33.6세였다. 특히 40대 여성의 출산율은 20대 초반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남성의 정자 수 감소, 운동성 저하, 정계정맥류 등의 문제도 난임을 유발할 수 있다.
난임 치료는 부부 상태에 맞춰 단계적으로 진행되는데, 일반적으로 배란 유도부터 시작한다. 경구 배란유도제나 난포자극호르몬(FSH) 등을 사용해 여러 개의 난자를 성숙시킨다. 환자 특성에 따라 약물 사용 없이 자연 배란 주기를 이용하기도 한다. 배란이 되더라도 나팔관이나 정자의 문제로 자연 임신이 어렵다면 인공수정(자궁내정액주입술)을 시도한다. 운동성이 좋은 정자를 선별해 배란 시기에 자궁 안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신체적 부담이 적다. 다만, 나팔관에 문제가 있거나 정자 수가 적으면 성공률이 낮다.
이럴 경우 시험관 아기 시술(체외수정)을 고려한다. 이 방식은 먼저 여성호르몬제로 과배란을 유도하고, 난소에 직접 바늘을 찔러서 난자를 채취한다. 그다음 시험관에서 남편의 정자와 난자를 수정시켜 배양한 후 여성 자궁에 이식한다. 이 과정은 여성에게 신체적 부담이 크다. 에비뉴여성의원 조병구 원장은 “여성은 과배란 유도 단계에서 호르몬제의 과잉 반응으로 난소가 부어올라 복통이 생기는 ‘과배란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고, 난자 채취 후에는 난소가 과로로 인해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시험관 시술은 임신 성공률이 약 20~30%에 불과해 수차례 반복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대한산부인과학회에 따르면 난임 부부의 평균 시술 시도 횟수는 7회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부부들은 정신적인 고통을 호소하기도 한다. 또한 비용이 적지 않아 재정적인 부담도 동반된다. 조병구 원장은 “반복되는 임신 실패로 인해 정신적 피폐를 겪어 중도에 시술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고, 여성의 건강상 이유로 시술을 지속하지 않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부고환염은 요도나 정관을 통해 세균이 감염되면서 생기며, 외상이나 요도로부터 역류된 소변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이 외에 클라미디아, 임균, 결핵균, 성 전파성 요도염, 대장균, 녹농균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증상으로는 40도 이상의 고열과 오한, 심한 통증, 음낭 부종 등이 있으며, 음낭이 평소보다 커지고 딱딱한 덩어리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치료가 늦어지면 만성으로 진행돼 지속적인 통증과 불쾌감, 심할 경우 난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부고환염은 혈액검사나 소변검사,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진단되며, 치료는 항생제 정맥 주사나 광범위 항생제 투여, 침상 안정, 냉찜질, 진통제·항염제 복용 등으로 진행된다. 보통 48시간 이내 증상이 호전되며, 2주 내 회복된다.
22일 김경진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아빠가 된다”며 “누구보다 행복한 마음으로 이 소식을 전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함께 축복해 주시고, 따뜻한 마음으로 지켜봐 주시면 감사하겠다”고 했다. 전수민도 같은 날 인스타그램에 “나의 소중한 아기천사들”이라며 “제 안에 아가 둘 심장이 뛰고 있다”고 전했다. 공개된 사진 속에는 김경진, 전수민 부부가 함께 쌍둥이 초음파 사진을 들고 활짝 웃는 모습이 담겼다.
앞서 이들 부부는 지난해 12월 KBS 2TV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에 출연해 난임 사실을 고백한 바 있다. 시험관 시술을 2차까지 시도했지만 실패했다고 밝히며, 그 이유로 김경진의 부고환염을 언급했다. 부고환염은 고환 뒤쪽의 부고환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당시 전수민은 “남편이 사업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아 부고환염이 왔다”며 “시험관 자체가 남편이 많이 참여해야 하는데, 나만 항상 영양제 먹고 운동하고 시술받고, 남편은 병원 가는 줄도 모른다”고 서운함을 토로했다.
김경진·전수민 부부처럼 난임으로 어려움을 겪는 부부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결혼·출산 시기가 늦어지는 사회적 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초혼 연령은 남성 34세, 여성 31.5세였고, 첫 출산 평균 연령은 33.6세였다. 특히 40대 여성의 출산율은 20대 초반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남성의 정자 수 감소, 운동성 저하, 정계정맥류 등의 문제도 난임을 유발할 수 있다.
난임 치료는 부부 상태에 맞춰 단계적으로 진행되는데, 일반적으로 배란 유도부터 시작한다. 경구 배란유도제나 난포자극호르몬(FSH) 등을 사용해 여러 개의 난자를 성숙시킨다. 환자 특성에 따라 약물 사용 없이 자연 배란 주기를 이용하기도 한다. 배란이 되더라도 나팔관이나 정자의 문제로 자연 임신이 어렵다면 인공수정(자궁내정액주입술)을 시도한다. 운동성이 좋은 정자를 선별해 배란 시기에 자궁 안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신체적 부담이 적다. 다만, 나팔관에 문제가 있거나 정자 수가 적으면 성공률이 낮다.
이럴 경우 시험관 아기 시술(체외수정)을 고려한다. 이 방식은 먼저 여성호르몬제로 과배란을 유도하고, 난소에 직접 바늘을 찔러서 난자를 채취한다. 그다음 시험관에서 남편의 정자와 난자를 수정시켜 배양한 후 여성 자궁에 이식한다. 이 과정은 여성에게 신체적 부담이 크다. 에비뉴여성의원 조병구 원장은 “여성은 과배란 유도 단계에서 호르몬제의 과잉 반응으로 난소가 부어올라 복통이 생기는 ‘과배란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고, 난자 채취 후에는 난소가 과로로 인해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시험관 시술은 임신 성공률이 약 20~30%에 불과해 수차례 반복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대한산부인과학회에 따르면 난임 부부의 평균 시술 시도 횟수는 7회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부부들은 정신적인 고통을 호소하기도 한다. 또한 비용이 적지 않아 재정적인 부담도 동반된다. 조병구 원장은 “반복되는 임신 실패로 인해 정신적 피폐를 겪어 중도에 시술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고, 여성의 건강상 이유로 시술을 지속하지 않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부고환염은 요도나 정관을 통해 세균이 감염되면서 생기며, 외상이나 요도로부터 역류된 소변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이 외에 클라미디아, 임균, 결핵균, 성 전파성 요도염, 대장균, 녹농균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증상으로는 40도 이상의 고열과 오한, 심한 통증, 음낭 부종 등이 있으며, 음낭이 평소보다 커지고 딱딱한 덩어리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치료가 늦어지면 만성으로 진행돼 지속적인 통증과 불쾌감, 심할 경우 난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부고환염은 혈액검사나 소변검사,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진단되며, 치료는 항생제 정맥 주사나 광범위 항생제 투여, 침상 안정, 냉찜질, 진통제·항염제 복용 등으로 진행된다. 보통 48시간 이내 증상이 호전되며, 2주 내 회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