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이미지
일본 고베대 출신 벤처기업 센츠페스(Sentsfes)가 개발한 향수 ‘푸퐁 퓨어(Poupon pure)’​./사진=센츠페스 홈페이지 캡처
신생아의 머리에서 나는 특유의 ‘좋은 냄새’를 그대로 구현한 향수가 일본에서 출시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지난 3일(현지시간) 일본 매체 NewsonJapan.com 등 외신에 따르면, 일본 고베대 출신 벤처기업 센츠페스(Sentsfes)가 개발한 향수 ‘푸퐁 퓨어(Poupon pure)’가 국내외 소비자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이 제품은 신생아의 머리 냄새를 화학적으로 분석해 재현한 세계 최초의 향수로, 제품명 ‘푸퐁’은 프랑스어로 ‘갓난아기’를 뜻한다. 푸퐁 퓨어는 따뜻하고 산뜻한 향을 풍기며, 강한 향에 민감한 사람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향의 강도를 낮춘 것이 특징이다.

센츠페스를 이끄는 고베대 오자키 마미코 명예교수는 “육아 중인 부모가 아기의 머리와 엉덩이 냄새를 자주 맡는다는 논문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향수를 만들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하마마쓰 의대 부속병원과 협력해 신생아 약 20명의 머리 냄새를 채취하고, 이를 구성하는 37가지 성분을 분석했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꽃향기와 감귤류 향 등을 조합해 아기의 체취를 재현했다. 개발팀은 대학생, 부모, 조부모, 보육사 등 다양한 연령대의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시향 테스트도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향을 맡은 뒤 “기분 좋다”, “계속 맡고 싶다”는 반응을 보였고, 일부는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오자키 교수는 “사람의 체취 중에서도 좋은 향을 지닌 성분이 있다”며 “그중 하나인 ‘노나날’은 꽃향기와 유사한 냄새로, 특히 아기에게 많이 함유돼 있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갓난아기는 울기만 해서 부모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지만, 동시에 좋은 냄새를 내며 ‘나를 다정하게 대해줘’라는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라며 “결국 부모는 아기를 돌보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 향수가 전 인류에게 작용하는 ‘아기의 치유 향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푸퐁 퓨어는 지난 6월 15일 출시 이후 입소문을 타며 품절 상태에 이르렀고, 이달 중순 이후 재입고 예정이다. SNS에서는 “미국에서도 구매할 수 없느냐”는 해외 소비자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제품의 화학 조성과 제조법은 일본은 물론, 중국·미국·유럽연합(EU) 등에서도 특허를 취득한 상태다.

한편, 실제로 아기의 두피 냄새가 보호 본능을 자극해 공격성을 조절하는 데 도움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스라엘 와이즈만과학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아기 두피에서 배출되는 ‘헥사데카날(HEX)’이라는 무색무취의 휘발성 화학물질이 여성에게는 외부 위협에 대한 경계심을 높여 아기를 보호하려는 반응을 유도하고, 남성에게는 위협 행동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이끈 노암 소벨 신경과학 박사는 “이 화학물질이 페로몬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인간의 행동, 특히 공격성과 관련된 반응에 영향을 주는 인체 분비물인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페로몬은 동물들이 경고, 구애 등 특정 신호를 전달할 때 몸 밖으로 내보내는 화학물질이다. 함께 연구에 참여한 에바 미쇼르 박사는 “아기가 자신의 솜털 가득한 머리 냄새를 성인에게 맡게 함으로써, 자신에게 유리한 행동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