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멕시코의 한 세 살배기 아이의 몸에서 거대한 머리카락 덩어리가 나온 충격적인 사연이 공개됐다.
지난 1일(현지시각) 외신 매체 니드투노우에 따르면, 우울증과 머리카락을 뽑는 정신과 질환을 앓고 있던 만 세 살 아이가 메스꺼움, 구토, 심한 복통을 호소했다. 체중도 4~5kg 정도가 빠졌다. 아이의 증상이 지속되자, 보호자는 결국 병원을 찾았다.
내시경 검사 결과, 위에서 장까지 이어진 거대한 모발 덩어리가 발견됐다. 의료진은 즉시 제거 수술을 진행했다. 수술을 집도한 소아외과 의사는 “모발 덩어리가 위에만 머문 것이 아니라 장까지 꼬리처럼 뻗어 있었다”고 말했다. 다행히 추가 합병증 없이 회복돼 퇴원했다고 전했다.
사례 속 아이처럼 머리카락을 먹는 행위에 중독되는 충동조절장애를 라푼젤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주로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발견되고, 정서 불안 등을 해소하기 위해 머리카락을 뽑는다. 환자는 머리카락을 뽑을 때 기쁨이나 만족감, 안도감 등을 느끼게 된다. 이 외에 스트레스 상황과 연관된 심리적 요인으로 발생한다. 서울청정신건강의학과 정동청 원장은 “머리카락을 강박적으로 뽑는 정신과 질환을 발모광이라고 하는데, 이 중 20~30%의 환자가 머리카락을 먹는 식모증으로 연결된다”며 “성장기 스트레스로 인해 발병하는 경우가 흔하고, 강박증과 유전적으로 관련성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고 말했다.
모발위석(삼킨 머리카락이 위장에서 소화되지 못하고 공처럼 뭉쳐 딱딱해지는 것)이 생기면 복통과 식욕 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때 지체하지 말고 신속하게 제거 수술을 받아야 한다. 알려진 사례가 많지 않지만,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지난 2017년 영국의 한 소녀가 식모증을 앓다가 머리카락이 소화기관을 막아 사망한 사례가 보고됐다. 정동청 원장은 “외과적 수술이나 내시경을 통해 모발위석을 제거하는 것이 일차적인 치료법이지만, 정신과 치료 또한 병행해야 재발을 줄일 수 있다”며 “인지행동치료나 강박증에 사용하는 약물로 치료한다”고 말했다.
지난 1일(현지시각) 외신 매체 니드투노우에 따르면, 우울증과 머리카락을 뽑는 정신과 질환을 앓고 있던 만 세 살 아이가 메스꺼움, 구토, 심한 복통을 호소했다. 체중도 4~5kg 정도가 빠졌다. 아이의 증상이 지속되자, 보호자는 결국 병원을 찾았다.
내시경 검사 결과, 위에서 장까지 이어진 거대한 모발 덩어리가 발견됐다. 의료진은 즉시 제거 수술을 진행했다. 수술을 집도한 소아외과 의사는 “모발 덩어리가 위에만 머문 것이 아니라 장까지 꼬리처럼 뻗어 있었다”고 말했다. 다행히 추가 합병증 없이 회복돼 퇴원했다고 전했다.
사례 속 아이처럼 머리카락을 먹는 행위에 중독되는 충동조절장애를 라푼젤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주로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발견되고, 정서 불안 등을 해소하기 위해 머리카락을 뽑는다. 환자는 머리카락을 뽑을 때 기쁨이나 만족감, 안도감 등을 느끼게 된다. 이 외에 스트레스 상황과 연관된 심리적 요인으로 발생한다. 서울청정신건강의학과 정동청 원장은 “머리카락을 강박적으로 뽑는 정신과 질환을 발모광이라고 하는데, 이 중 20~30%의 환자가 머리카락을 먹는 식모증으로 연결된다”며 “성장기 스트레스로 인해 발병하는 경우가 흔하고, 강박증과 유전적으로 관련성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고 말했다.
모발위석(삼킨 머리카락이 위장에서 소화되지 못하고 공처럼 뭉쳐 딱딱해지는 것)이 생기면 복통과 식욕 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때 지체하지 말고 신속하게 제거 수술을 받아야 한다. 알려진 사례가 많지 않지만,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지난 2017년 영국의 한 소녀가 식모증을 앓다가 머리카락이 소화기관을 막아 사망한 사례가 보고됐다. 정동청 원장은 “외과적 수술이나 내시경을 통해 모발위석을 제거하는 것이 일차적인 치료법이지만, 정신과 치료 또한 병행해야 재발을 줄일 수 있다”며 “인지행동치료나 강박증에 사용하는 약물로 치료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