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염증성 장질환은 위장관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기는 병이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궤양성 대장염 등 국내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비만율이 10여년 사이 2.3배로 올라 최근에는 10명 중 3명가량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성 장질환은 위장관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기는 병으로,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이 대표적이다. 완치가 불가능해서 환자의 특성과 증상에 맞는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염증성장질환센터 황성욱·김민규 교수 연구팀은 2008∼2021년 병원을 방문한 환자 1만1216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MI) 변화를 분석했다. BMI는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비만의 판단 기준으로 쓰인다.

분석 결과,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평균 비만율은 2008년 13.1%에서 2021년 29.8%로 2.3배가 됐다. 같은 기간 일반 인구의 비만율은 30.7%에서 37.1%로 6%포인트가량만 올랐다.

성별로 나눴을 때 여성 환자 비만율은 2008년 9.2%에서 15.0%로 오르는 데 그쳤으나 남성 환자 비만율은 15.1%에서 37.7%로 2배 이상 올랐다.

대사 증후군과 관련된 환자들의 혈액 지표도 연구 기간 지속해서 상승했다. 특히 혈당의 경우 정상 범위(70∼99㎎/dL)를 초과해 상승했고, 총콜레스테롤 수치는 정상 범위 내에서 꾸준히 올랐다. 크론병 환자의 중성지방 수치는 2008년 적정 수준이었으나 2021년에는 경계 수준인 150㎎/dL를 넘었다.

비만과 대사증후군은 심·뇌혈관계질환을 포함한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뿐 아니라 염증성장질환 예후를 악화시키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염증성장질환 환자는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지만, 식이 조절 제한이 있고 장 절제 수술 병력이나 복용 중인 약물 등이 체중 및 대사에 영향을 미쳐 일반적인 비만 관리법을 적용하기 어렵다.

연구 저자인 황성욱 교수는 "동양인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비만에 대한 임상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에서 염증성 장질환과 비만율의 연관성을 입증했다"며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환자의 개별 특성을 고려하고 장기 예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소화기학 저널(Journal of Gastroenterology) '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