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 식이 구리를 약 1.2mg 섭취하면 인지기능 저하를 막아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구리는 필수 미량 원소 중 하나로 신경전달물질 합성, 세포 에너지 생산, 항산화 기능 등에 관여하는 영양소다. 구리 1.2mg은 중간 크기의 감자 두 개 정도에 포함된 양이며 특히 감자 껍질에 풍부하다. 구리는 감자 외에 통 곡물, 콩류, 견과류 등에도 풍부하다.
중국 허베이 의과대학 제4병원 연구팀이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60세 이상 성인 2420명을 4년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팀은 참여자들의 식이 구리 섭취량에 따른 인지기능 변화를 분석했다. 참여자들의 인지기능은 숫자와 문자를 연결시키는 속도, 동물 이름 떠올리기, 즉각 회상 능력 등을 통해 종합 평가됐다.
분석 결과, 구리를 하루에 1.2~1.6mg 섭취하는 사람은 이보다 구리를 적게 섭취하는 사람보다 인지점수가 높았다. 단, 그 이상 섭취하는 것은 더 이상 인지기능 개선 효과가 없었다. 나이, 성별, 교육 수준, 체질량지수(BMI), 흡연, 음주 등 15개 변수를 고려한 뒤에도 결과는 동일했다.
연구팀은 구리가 항산화 작용을 하는 효소 생성에 필수적인 성분으로 뇌세포를 손상시키는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신경세포 손상을 막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구리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 생성에도 관여한다. 아세틸콜린은 기억력, 학습능력 등과 연관된 물질로 충분히 섭취하면 기억력 개선 등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
스코틀랜드 치매 연구센터의 이전 연구에서도 수돗물에 구리·마그네슘·칼슘 등 미네랄 성분이 적게 포함되면 치매 발병 위험이 최대 33% 높아질 수 있다는 결과가 나오며 구리 등 미네랄의 뇌 보호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다.
연구를 주도한 웨이아이 지아 박사는 “하루 1.22mg 정도 적정량의 구리 섭취는 고령자의 인지기능, 특히 뇌졸중 이후 회복에 효과적이다”며 “다만, 보충제로 과다섭취 하는 것보다 천연식품으로 섭취해 구리만 챙기기보다 단백질, 불포화지방, 식이섬유 등을 골고루 섭취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최근 게재됐다.
구리는 필수 미량 원소 중 하나로 신경전달물질 합성, 세포 에너지 생산, 항산화 기능 등에 관여하는 영양소다. 구리 1.2mg은 중간 크기의 감자 두 개 정도에 포함된 양이며 특히 감자 껍질에 풍부하다. 구리는 감자 외에 통 곡물, 콩류, 견과류 등에도 풍부하다.
중국 허베이 의과대학 제4병원 연구팀이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60세 이상 성인 2420명을 4년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팀은 참여자들의 식이 구리 섭취량에 따른 인지기능 변화를 분석했다. 참여자들의 인지기능은 숫자와 문자를 연결시키는 속도, 동물 이름 떠올리기, 즉각 회상 능력 등을 통해 종합 평가됐다.
분석 결과, 구리를 하루에 1.2~1.6mg 섭취하는 사람은 이보다 구리를 적게 섭취하는 사람보다 인지점수가 높았다. 단, 그 이상 섭취하는 것은 더 이상 인지기능 개선 효과가 없었다. 나이, 성별, 교육 수준, 체질량지수(BMI), 흡연, 음주 등 15개 변수를 고려한 뒤에도 결과는 동일했다.
연구팀은 구리가 항산화 작용을 하는 효소 생성에 필수적인 성분으로 뇌세포를 손상시키는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신경세포 손상을 막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구리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 생성에도 관여한다. 아세틸콜린은 기억력, 학습능력 등과 연관된 물질로 충분히 섭취하면 기억력 개선 등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
스코틀랜드 치매 연구센터의 이전 연구에서도 수돗물에 구리·마그네슘·칼슘 등 미네랄 성분이 적게 포함되면 치매 발병 위험이 최대 33% 높아질 수 있다는 결과가 나오며 구리 등 미네랄의 뇌 보호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다.
연구를 주도한 웨이아이 지아 박사는 “하루 1.22mg 정도 적정량의 구리 섭취는 고령자의 인지기능, 특히 뇌졸중 이후 회복에 효과적이다”며 “다만, 보충제로 과다섭취 하는 것보다 천연식품으로 섭취해 구리만 챙기기보다 단백질, 불포화지방, 식이섬유 등을 골고루 섭취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