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울도땃쥐/사진=고려대 의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울릉도에 서식하는 울도땃쥐에서 새로운 한타바이러스인 ‘울릉바이러스’를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

울도땃쥐는 경상북도 울릉군에 서식하는 땃쥐과에 속한 포유류로, 땃쥐류 가운데 제일 작은 종이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울릉도에서만 서식하고 울릉도땃쥐, 울도뒤지라고도 한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송진원 교수 연구팀이 지난 11일 새로운 한타바이러스를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바이러스를 ‘울릉바이러스’라고 명명했다. 고유종인 울도땃쥐에서 검출된 이 바이러스는 기존 제주바이러스와는 다른 유전형으로, 새로운 한타바이러스 계통이다. 한타바이러스는 설치류를 숙주로 하는 RNA 바이러스다. 신증후출혈열(HRFRS)과 한타바이러스심폐증후군(HCPS)을 유발한다. 한타바이러스는 동물과 사람 간 전파되며, 감염 시 고열, 출혈, 신부전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국내 치명률은 약 1%다.


연구팀은 2009년 울릉도에서 채집한 울도땃쥐 62개체를 대상으로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법(RT-PCR)을 통해 분석한 결과, 40개체에서 울릉바이러스 감염을 확인했다. 감염률은 64.5%에 달했다. 또한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NGS)을 활용해 울릉바이러스의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세계 최초로 이 바이러스의 전장 유전체까지 분석한 이번 연구는 질병 예방과 감염병 감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송진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제주바이러스와는 구분되는 새로운 한타바이러스를 발견하고, 그 유전적 특성과 계통을 체계적으로 규명했다”며 “울릉바이러스의 잠재적 병원성과 감염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향후 병원성 연구와 역학·분자 감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Scientific Reports’ 7월 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