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에는 자외선이 강해지고, 냉방기기 사용량이 급증한다. 눈 입장에서 외부 자극이 많은 시기다. 실외에서 선글라스를 쓰는 것만으로 눈에 가해지는 자극의 절반 이상을 줄일 수 있다는 게 전문가의 설명이다. 아울러 수영장이나 바다에서 수영 시에도 눈을 보호하는 방법들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선글라스, 실내서 쓰면 눈 피로감 높여
여름철 강한 자외선은 피부뿐 아니라 눈에도 직접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안과 정준규 교수는 “자외선은 백내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군날개와 같은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며 “특히 각막은 외부에 노출된 조직으로, 강한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각막 화상(광각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스키장에서 발생하는 ‘설맹(雪盲)’도 같은 원리의 각막 화상이다. 눈이 따갑고 충혈되며 이물감과 눈물이 나는 증상을 동반한다.
자외선은 여름철 휴가지뿐 아니라 일상에서도 피하려고 노력하는 게 좋다.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선글라스가 가장 효과적이다. 자외선 차단율이 99%인 ‘UV400’ 등급 여부를 확인하고, KC 인증 등 안전 인증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 선택해야 한다. UV 차단 기능이 없으면 오히려 어두운 시야에 동공이 커져 자외선 노출량이 증가할 수 있다.
선글라스는 실내에서는 벗는 게 좋다. 실내에서 선글라스를 착용하면 우리 눈은 색과 거리 구별에 어려워지고 정확한 판단을 위해 평소보다 2~3배 이상의 활동을 지속한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눈이 부시지 않아 편하다고 생각하지만, 눈은 더 빨리 피로해질 수 있다.
◇수영장 바이러스 주의… 콘택트렌즈 피해야
◇선글라스, 실내서 쓰면 눈 피로감 높여
여름철 강한 자외선은 피부뿐 아니라 눈에도 직접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안과 정준규 교수는 “자외선은 백내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군날개와 같은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며 “특히 각막은 외부에 노출된 조직으로, 강한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각막 화상(광각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스키장에서 발생하는 ‘설맹(雪盲)’도 같은 원리의 각막 화상이다. 눈이 따갑고 충혈되며 이물감과 눈물이 나는 증상을 동반한다.
자외선은 여름철 휴가지뿐 아니라 일상에서도 피하려고 노력하는 게 좋다.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선글라스가 가장 효과적이다. 자외선 차단율이 99%인 ‘UV400’ 등급 여부를 확인하고, KC 인증 등 안전 인증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 선택해야 한다. UV 차단 기능이 없으면 오히려 어두운 시야에 동공이 커져 자외선 노출량이 증가할 수 있다.
선글라스는 실내에서는 벗는 게 좋다. 실내에서 선글라스를 착용하면 우리 눈은 색과 거리 구별에 어려워지고 정확한 판단을 위해 평소보다 2~3배 이상의 활동을 지속한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눈이 부시지 않아 편하다고 생각하지만, 눈은 더 빨리 피로해질 수 있다.
◇수영장 바이러스 주의… 콘택트렌즈 피해야
자외선 외에 수영장 염소나 바닷물 속 염분 역시 여름철, 눈을 자극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다. 또한 많은 사람이 모이는 수영장을 다녀온 뒤 바이러스 전염으로 인한 유행성각결막염(눈병)과 같은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럴 땐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채로 물놀이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콘택트렌즈는 수분을 흡수해 세균과 바이러스가 달라붙기 쉬워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가시아메바는 심각한 수준의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로, 수돗물·호수·해변 등의 환경에 존재한다. 정준규 교수는 “가시아메바 각막염을 예방하려면 물놀이 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말고, 콘택트렌즈를 수돗물로 세척하는 일도 절대 피해야 한다”라며 “수영 후에는 렌즈를 제거하거나 1회용 렌즈 착용 후 즉시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아이들은 손 위생 관리가 미흡하거나 눈을 자주 만지는 행동 특성으로 인해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알레르기 결막염이 있다면 충분한 치료를 받아 아이들이 눈을 비비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수영장 이용 시 아동용 고글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정준규 교수는 “여름철은 눈이 외부 환경 변화에 직접 노출되는 시기인 만큼, 자외선 차단과 위생 관리만으로도 눈 건강을 지킬 수 있다”며 “눈에 조금이라도 불편함이 지속되면 자가 진단보다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가시아메바는 심각한 수준의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로, 수돗물·호수·해변 등의 환경에 존재한다. 정준규 교수는 “가시아메바 각막염을 예방하려면 물놀이 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말고, 콘택트렌즈를 수돗물로 세척하는 일도 절대 피해야 한다”라며 “수영 후에는 렌즈를 제거하거나 1회용 렌즈 착용 후 즉시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아이들은 손 위생 관리가 미흡하거나 눈을 자주 만지는 행동 특성으로 인해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알레르기 결막염이 있다면 충분한 치료를 받아 아이들이 눈을 비비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수영장 이용 시 아동용 고글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정준규 교수는 “여름철은 눈이 외부 환경 변화에 직접 노출되는 시기인 만큼, 자외선 차단과 위생 관리만으로도 눈 건강을 지킬 수 있다”며 “눈에 조금이라도 불편함이 지속되면 자가 진단보다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