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응급실에 방문한 온열질환 누적 환자수가 감시를 시작한 이래 가장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청은 10일, 2011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이래로 응급실에 방문한 온열질환 누적환자 수가 가장 이른 시기에 1000명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2018년 8월 이후 처음으로 일일 온열질환자 발생이 200명을 넘어섰다.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온열질환자 발생이 급등한 지난달 28일 이후 전국 평균최고기온이 31도 이상을 유지함에 따라 5월 15일부터 지난 8일까지 총 1228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다. 이 중 사망자는 8명으로 나타났다. 전년 같은 기간(486명)과 비교했을 때 환자는 약 2.5배, 사망자는 2.7배 증가한 수치다.


올해 들어 현재까지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실외 발생(81.1%)이 많았고, 작업장(28.7%), 논밭(14.4%), 길가(13.9%) 등 야외활동 중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이 33.6%를 차지하고, 50대 이상이 61.1%로 나타나 야외근로자와 어르신 등 폭염 취약집단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농어민과 야외 작업 종사자는 고온 환경에서의 장시간 활동을 피하고, 충분한 물과 휴식시간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수분을 자주 섭취하고, 열대야 시에는 실내 온도 및 습도 관리, 수면 전 샤워 등 숙면을 돕는 환경 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열대야 건강수칙을 제시하고, 국민 누구나 손쉽게 실천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이미지
폭염 대비 건강수칙 3가지./사진=질병관리청 제공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올해는 예년보다 빠른 열대야와 폭염으로 온열질환 발생 위험이 매우 높다”며 “특히 농어민과 야외 작업자는 휴식과 함께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야 하고, 어르신, 어린이, 만성질환 등 기저질환을 가진 이들은 폭염과 열대야 속에서 쉽게 탈진하거나 건강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이웃과 가족들이 자주 안부를 확인하고, 시원한 환경에서 지낼 수 있도록 각별한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